'2025 여우락페스티벌'기자간담회(강권순). 2025.06.11 사진 ⓒ아트코리아방송 이용선 기자​
'2025 여우락페스티벌'기자간담회(강권순). 2025.06.11 사진 ⓒ아트코리아방송 이용선 기자​

[아트코리아방송 = 이용선 기자] '2025 여우락 페스티벌' 기자간담회가 지난 11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테라스에서 진행됐다.'노래가 그래요'의 강권순이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연금술사: 뜻밖의 조합을 빚어내는 자'는 정가·클래식·인대밴드·현대무용 등 민요와 다양한 장르의 거침없는 실험과 결합을 보여준다. '노래가 그래요'는 전통 성악의 두 갈래인 정가의 '가'와 민요의 '요'를 잇는 새로운 무대다. 공연은 민요와의 결합을 통해 정가에서 시도하기 어려웠던 참여와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초점을 맞춘다. 

 

가곡, 가사, 시조 등 정가 전반을 아우르는 한국의 대표 여창 가객 강권순은 "저희는 정가로 이 시대에 가요를 만든다라는 각오로 열심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국악·양악 연주가 없이 코러스만 4명이 들어오고 음악은 신원영 씨가 작곡을 합니다. 세상에 이럴 정도로 음악을 해체해 본 적은 없었던 것 같아요. 아침저녁으로 고민해서 음악을 만들고 있는데 무엇을 상상하고 오시던 다름이 있을 겁니다"라고 했다. 

 

'2025 여우락 페스티벌'은 경기민요 소리꾼이자 연출가 이희문을 예술감독으로 선임해 '민요의 재발견'을 주제로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이 새롭게 해석한 다채로운 민요의 향연을 펼친다. '요상한 민요 나라'라는 판타지 세계관 속 예술감독 이희문이 '요상한 민요 나라 히무니'로 화려한 축제의 막을 열면 '수호자' '마법사' '연금술사'로 분류된 아티스트들이 23일간 총 12개 작품 16회 공연을 선보인다. 역대 최다 규모인 200여 명의 아티스트가 참여하고, 대중가요·정가·클래식·현대무용·재즈·인디음악 등 각 세대와 장르를 대표하는 예술가들이 저마다의 음악 언어로 민요를 다채롭게 연주한다. 

 

강권순X신원영의 '노래가 그래요'는 7월 11일(금)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