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이용선 기자] '2025 여우락 페스티벌' 기자간담회가 지난 11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테라스에서 진행됐다. '남자라는 이유로'의 고금성이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2025 여우락페스티벌'기자간담회(고금성). 2025.06.11 사진 ⓒ아트코리아방송 이용선 기자​
'2025 여우락페스티벌'기자간담회(고금성). 2025.06.11 사진 ⓒ아트코리아방송 이용선 기자​

'수호자 : 전통을 지켜가는 자'는 민요의 본질과 전통을 지켜온 민요 명인과 소리꾼의 무대이다. 경서도 소리꾼 고금성은 남성 경기민요 그룹 '고만고만'과 함께 무대에 올라 그간의 애환을 진지하면서도 유쾌하게 풀어낸다. 이 공연은 무대 위에서는 한복을 입고 무대 밖에서는 생업을 이어가면서도 여전히 소리를 놓지 않는 고금성의 현실을 정면으로 담아낸다. '남자라는 이유로'는 이번 무대를 통해 처음 공개되는 고금성의 비밀스러운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구성했다. 

 

고금성은 "분단 이전에는 평양과 경기도를 왔다 갔다하면서 선생님들이 소리를 배웠다고 하더라고요. 남자 소리꾼으로서의 삶이 얼마나 힘든 길인지를 다시 한번 되새기는 무대일 것 같습니다. 후배들을 양성하는 길 그런 것 밖에는 없었던 시대가 있었고, 무대도 많지 않았고, 사당패나 소리꾼으로서 이 마을 저 마을 다니면서 소리해 먹고 살던 시절도 있었고요"라며 "그런 소리들에 대한 추억들을 이번 무대에서 살려내보고자 합니다. 후배들 또 차세대 소리꾼들, 남자 소리꾼으로서 어떻게 이어가야 될지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라고 했다. 

 

'2025 여우락 페스티벌'은 경기민요 소리꾼이자 연출가 이희문을 예술감독으로 선임해 '민요의 재발견'을 주제로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이 새롭게 해석한 다채로운 민요의 향연을 펼친다. '요상한 민요 나라'라는 판타지 세계관 속 예술감독 이희문이 '요상한 민요 나라 히무니'로 화려한 축제의 막을 열면 '수호자' '마법사' '연금술사'로 분류된 아티스트들이 23일간 총 12개 작품 16회 공연을 선보인다. 역대 최다 규모인 200여 명의 아티스트가 참여하고, 대중가요·정가·클래식·현대무용·재즈·인디음악 등 각 세대와 장르를 대표하는 예술가들이 저마다의 음악 언어로 민요를 다채롭게 연주한다. 

 

'2025 여우락페스티벌'은 7월 4일(금)부터 26일(토)까지 국립극장 하늘극장과 달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