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17일~20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아트코리아방송 = 이용선 기자] 2024년 초연 당시 '지적이고 감각적인 춤의 경전'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매진을 기록했던 국립무용단의 '사자(死者)의 서'가 2025-2026 시즌 첫 공연으로 다시 무대에 오른다.
'사자의 서'는 티베트 불교 경전 '티베트 사자의 서'에서 영감을 받아 망자가 죽음 이후 49일간 겪는 내세의 여정을 강렬한 춤과 에너지로 그려낸 작품이다. 국립무용단 예술감독 김종덕이 안무를 맡아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무대 미학을 통해 삶과 죽음, 인간 존재에 대한 철학적 질문과 위로의 메시지를 전한다.
작품은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죽음 후 망자가 겪는 49일의 여정을 단계적으로 묘사한다.
의식의 바다는 죽음을 애도하는 제의로 시작하여 저승사자가 등장하고 망자는 사후세계로 인도된다. 춤추는 망자의 독무와 죽음을 애도하는 살아있는 자들의 군무가 강렬한 대비를 이룬다. 상념의 바다에서는 망자의 삶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며 기쁨과 슬픔, 회한과 체념 등의 감정의 굴곡을 섬세하게 담아낸다. 마지막 고요의 바다는 반복되는 움직임을 통해 삶과 죽음, 사후세계가 연결된다는 성찰과 위로를 전달한다.
이번 재공연은 초연의 흐름을 보다 압축적으로 재구성하고, 캐스팅에도 변화를 주었다. 초연 당시 2인의 남성 무용수가 맡았던 망자 역은 이번에 성별 구분 없이 5인의 국립무용단 주역 무용수가 번갈아 맡으며, 작품에 대한 다층적 해석과 신체 표현의 다양성을 더한다. 초연 멤버 조용진을 비롯해 관록의 장현수, 김미애, 강렬한 에너지를 지닌 박소영, 이태웅이 출연해 각기 다른 색채를 선보일 예정이다.
음악은 국립무용단 대표 레퍼토리 '산조' 작곡에 참여한 김재덕과 거문고 연주자이자 작곡가 황진아가 맡아, 망자의 애절함과 사후세계의 신비로움을 극대화하며 서사의 힘을 실어준다. 무대디자인은 이태섭, 조명디자인은 장석영, 영상디자인은 황정남, 의상디자인은 노현주가 담당했다. 양 벽면과 바닥이 백색으로 이어져 있는 무대는 장면에 따라 조각조각 나뉘고 회전하며, 시공간을 초월한 신비한 이미지를 구현한다. 의상은 전통 복식의 틀을 고수하면서도 치마의 긴 트임과 찢긴 듯한 끝자락으로 제의적인 분위기를 더했다.
국립무용단은 공연 전, 관객이 작품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8월 28일부터 9월 11일까지 매주 목요일마다 '사자의 서'를 가까이서 체험할 수 있는 오픈 클래스와 오픈 리허설이 진행된다. 연습실에서 국립무용단 무용수들에게 직접 작품 일부를 배워볼 수 있는 오픈 클래스와, 안무가의 노트와 공연 장면 시연을 감상할 수 있는 오픈 리허설이 마련된다. 또한, 매 공연 종료 후 주역 무용수들과의 사인회를 통해 관객과의 더욱 가까운 소통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 공연은 국립극장 홈페이지에서 예매할 수 있으며, 더욱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