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26일(목)~10월 15일(화)까지 서초동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제7전시실

장애예술 주제기획전 '기울기 기울이기' 제공 예술의전당
장애예술 주제기획전 '기울기 기울이기' 제공 예술의전당
장애예술 주제기획전 '기울기 기울이기' 제공 예술의전당
장애예술 주제기획전 '기울기 기울이기' 제공 예술의전당

[아트코리아방송 = 이용선 기자] 예술의전당이 서울문화재단과 함께 장애예술 주제기획전 '기울기 기울이기'를 개최한다.

 

9월 26일(목)부터 10월 15일(화)까지 서초동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제7전시실에서 전 연령대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예술의전당과 서울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주관하고 효성그룹이 후원한 이번 전시는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을 지난해보다 확대 적용해 전시장을 찾는 관람객의 편의를 고려한 것이 큰 특징이다. 색약자를 위한 색약 보정 안경, 저시력자를 위한 촉각 감상 도구, 수어, 음성 안내, 점자, 스크린 리더 등이 제공되며 어린이와 발달장애인을 위한 쉬운 전시 설명도 마련됐다.

 

김은정, Ethereal Breath, 2024, 튤, 실크, 가변크기. 제공 예술의전당
김은정, Ethereal Breath, 2024, 튤, 실크, 가변크기. 제공 예술의전당
김진주, 마로니에 식물_백목련_열매가 되기 전에..., 2023, 종이에 펜, 51× 35.5cm 제공 예술의전당
김진주, 마로니에 식물_백목련_열매가 되기 전에..., 2023, 종이에 펜, 51× 35.5cm 제공 예술의전당
라움콘, 환영, 2024, 디지털 프린트, 가변크기, 단채널 비디오 스틸컷. 제공 예술의전당
라움콘, 환영, 2024, 디지털 프린트, 가변크기, 단채널 비디오 스틸컷. 제공 예술의전당

서로 다른 기법으로 표현한 각자의 '기울기'

이번 전시는 주제 '기울기 기울이기(The Art of Tilting)'를 따라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 14기 입주예술가 6팀이 신작을 포함한 30여 점을 선보인다. 광대하고 어두운 우주에서 길이·크기·방향·기울기가 각기 다른 빛 선분들이 섬광처럼 떠다니는 이미지에서 착안한 이번 주제처럼, 각기 다른 장애를 가진 작가들이 서로 다른 기법으로 각자의 기울기를 표현한다.

 

박유석, 교차, 2024, 비디오 설치, LED 패널 모듈, 알루미늄 프레임, 스테레오 사운드, 234x14×30cm  제공 예술의전당
박유석, 교차, 2024, 비디오 설치, LED 패널 모듈, 알루미늄 프레임, 스테레오 사운드, 234x14×30cm 제공 예술의전당
윤하균, 괴물, 2022, 광목에 먹, 190x110cm  제공 예술의전당
윤하균, 괴물, 2022, 광목에 먹, 190x110cm 제공 예술의전당

참여 작가는 귓속말의 다정함을 표현해 소리와 촉감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한 김은정(설치), 관찰 드로잉으로 식물의 생태 변화를 그린 김진주(구족화), 장애로 인해 절대 정복할 수 없게 된 산을 해석해 구성해 낸 라움콘(이기언(Q레이터)+송지은, 오브제), 후천적 시각장애로 변화하는 삶과 감정을 표현한 박유석(미디어아트), 상상 속 괴물의 부정성을 억제하며 광목에 먹으로 그려낸 윤하균(동양화),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서울 풍경 연작을 선보이는 허겸(회화)이다. 작가 6팀이 소개하는 여섯 가지 기울기는 장애·비장애 구분 없이 누구나 고유하게 갖는 자신의 기울기나 사람 간의 관계 속에서 공존하고 교차하는 셀 수 없이 많은 빛과 기울기에 관한 이야기들을 입체적으로 경험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6팀이 속한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는 서울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장애예술 분야 전문 창작공간으로, 지난 2007년부터 17년간 350여 명의 장애예술인이 거쳐 간 상징적인 공간이다. 장애예술인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입주예술가 창작지원사업'과 창작활동 및 발표를 지원하는 '장애예술인 창작활성화 지원사업'을 운영 중이며, 다양한 제휴사업을 통해 장애예술인의 안정적인 창작 환경과 예술생태계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워크숍과 쉬운 해설로 더 가까이, 더 넓게 만나는 작품

촉각 감상 워크숍 '눈과 손으로 전시 보기' -  10월 9일(수) 10:30~12:00

도슨트 - 매주 토요일 9월 28일, 10월 5일, 10월 12일 / 11:00 쉬운 도슨트, 15:00 일반 도슨트

특히 일부 작품은 촉각 도구로 새로운 감상법을 제시한다. 작품 감상 촉각 도구란, 시각예술 작품 관람에 제약이 있는 저시력자가 손으로 작품의 미니어처를 만지며 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도구이다. 작품 감상 촉각 도구를 직접 만들어 보는 '눈과 손으로 전시 보기' 워크숍도 10월 9일(수) 진행될 예정이며, 가족, 친구 등 단체로 신청할 수 있다.

 

매주 토요일에는 쉬운 도슨트(오전 11시)와 일반 도슨트(오후 3시)가 별도로 준비되어 현장에서 더욱 자세한 전시해설을 들을 수 있다. 이 외에도 특별히 배우 김영민이 깊고 따뜻한 목소리로 들려주는 이미지 해설 기법을 활용한 전시장 오디오 가이드가 마련되었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