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작가들의 실험적 활동으로 백남준의 정신
[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백남준 아트센터가 2025년 첫 전시로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 4.0'을 직관적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전시는 2월 20일부터 6월 29일까지 백남준아트센터 제2전시실에서 열리며, 젊은 예술가 7팀(8명)이 참여해 실험적인 파격적인 예술 세계를 펼치고 있다. 참여 작가는 고요손, 김호남, 사룻 수티벡, 얀투, 장한나, 정혜선·육성민, 한우리가 참가했다.
전시 제목 '랜덤 액세스'는 1963년 백남준의 첫 개인전 '음악의 전시 – 전자 허브'에서 소개된 생물학에서 유래했다. 분리형에 오디오 테이프를 펼쳐놓지 않고 직접 자석 헤드를 구성하고 소리를 만들어내도록 한 이 물체는 새로운 개념과 형식을 잘 피하려고 백남준의 실험적 태도를 상징했다.
이러한 백남준의 정신은 2025년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 4.0'을 통해 다시금 구성원석이 되었다. 참여 작가들은 기존의 차원과 예술적 형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을 생각하며, 현대 문명의 뒷면을 탐색하고 고정관념에 균열을 일으키는 작업 을 선 보이는 것이다 .
이번 노출은 프랑스 작가 '몽테뉴(Michel de Montaigne)'의 관계주의 적 질문 “나는 무엇을 아는가?”(Quesais-je?)와 백남준의 예술적 모토 “영속적인 불만족은 영속적인 진화”가 관계하는 장소에서 출발했다.
두 거장은 고정된 사고방식에 대한 변함없는 주장과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조사를 지지한다. 참여 작가들은 원래의 틀을 깨고, 믿도록 수용하며, 창의적인 발견을 시도하는 생명체를 통해 이러한 독특한 방식을 현대적으로 구성하였다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 4.0'은 기존의 경계를 허물고 유연한 사고를 일깨우는 것이 될 것이다. 참여 작가들은 현대 사회가 아닌 것을 추구하며, 예술가가 어떻게 사고 방식을 전환하고 새로운 연결을 촉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이번 전시는 단순히 미디어 아트의 축소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예술이라는 것은, 사고해야 하는 것이 무엇에 대한 것인지 질문을 던지는 자리가 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