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먹의 조형성, 서예의 한계성을 날카롭게 파고든 작품 50여 점 전시
- 12월 20일~25년 3월 2일까지 한가람미술관 3층 제6전시실

'박진우-Still Alive' 전시 포스터. 제공 예술의전당
'박진우-Still Alive' 전시 포스터. 제공 예술의전당

[아트코리아방송 = 이용선 기자] 예술의전당은 오는 12월 20일(금)부터 2025년 3월 2일(일)까지 한가람미술관 3층 제6전시실에서 '박진우-Still Alive' 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예술의전당의 기획 시리즈 중 하나로, 서예 부문 작가를 발굴하고 소개하는 프로젝트이다.

 

박진우 작가는 전통적인 서예 매체인 먹과 종이를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하여 신선한 작품을 선보여 왔다. 그동안 '고궁연화전' (국립고궁박물관, 2021), '먹으로 그린우주' 전(한양대학교박물관, 2021) 등에서 의 독특한 스타일을 확립한 바 있다.

 

특히, 2023년에는 독창적인 작품성을 인정받아 대만 타오위엔 시립미술관에서 열린 헝산국제서예비엔날레에 초청받았고, 이어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JIKJI and HANJI' 전에서는 드리핑 기법을 활용한 작품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 현대 서예를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먹탑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_종이에 먹 탁본, 2024, 198×102cm 제공 예술의전당
먹탑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_종이에 먹 탁본, 2024, 198×102cm 제공 예술의전당

이번'박진우-Still Alive' 전시에서는 작가의 신작인  '먹탑'시리즈를 중심으로 다양한 평면 및 설치 작품 50여 점이 소개됩니다. '먹탑'시리즈는 한국의 전통 미를 상징하는 '탑'을 먹을 사용해 탁본 기법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작가는 먹의 다양한 색감과 농도를 통해 동시대적 미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박진우 작가는 '먹'과 '탑'이라는 전통적 요소를 결합하여, 물리적이고도 정신적인 의미를 담은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냈습니다. 그는 먹의 조형성을 활용하여 탑을 차곡차곡 쌓아가며, 탑이 지닌 시간과 변화를 상징하는 아름다움을 탐구하고 있다.

 

박진우 작가의 이번 전시는 서예라는 전통적 틀을 넘어서서 현대 미술로서 서예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중요한 전시이다. 서예의 전통을 현대적 문맥 속에서 재구성하고, 그 경계를 확장하는 작가의 여정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