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이용선 기자] 아시아 현대미술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국제 협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칠곡문화예술위원회 서세승 위원장과 몽골 블루선 현대미술센터 솔롱고 바트사이한 대표가 주도하는 국경 초월 예술 연대가 기존의 서구 중심 담론을 넘어 세계 미술계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중이다. 두 인물의 선구적 리더십은 'K-아트'를 중심으로 아시아 고유의 미학적 가치와 사고를 국제 무대에 강렬히 각인시키며, 새로운 예술사적 전환점을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아시아 미술의 글로벌 도약 ... 성과로 증명된 국제적 영향력
양측의 협력은 단순한 문화 교류를 넘어, 아시아 예술이 글로벌 미술계와 대등한 위치에서 대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특히 글로벌 시장의 중심지에서 진행된 '글로벌 아트 인 상하이' VIP 초청 관람은 아시아 현대미술의 비평적 가치와 시장성, 확장 가능성을 세계 컬렉터와 큐레이터에게 각인시키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2023년 몽골 울란바토르 자나바자르불교미술박물관에서 열린 '이중적 연결(Hybrid Connections)' 전 역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서로 다른 문화와 시각이 만들어내는 혼종적 미학을 선보인 이 전시는 아시아 현대미술의 미래적 방향성을 선명하게 제시하며, 문화 융합의 새로운 모델로 기록됐다.
이 과정에서 중국의 저명 평론가 구전칭, 세계적 컬렉터 울리 시그, 몽골 대표 미술가 바타르조리그 등 핵심 인물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견고한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이들은 다극화하는 현대 미술 시장 속에서 아시아 예술의 발언권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베이징에서의 전략적 협력은 동아시아 미술 지형을 재편하는 결정적 계기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시지르바타르 작가의 개인전은 몽골 현대미술이 더 이상 주변부가 아닌, 동아시아의 새로운 축으로 부상할 수 있음을 강력하게 입증했다.
한국·몽골·중국 예술가 간의 창조적 교류와 네트워크는 서로의 감각을 확장시키는 시너지를 낳았고, 동아시아 예술담론 형성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주요 전시 ... 아시아 예술 연대의 정점
아시아 예술 연대는 현재 두 개의 주요 전시를 통해 더욱 구체적인 성과를 드러내고 있다.
먼저, 내몽골 푸른 도시 – 87 아트 갤러리에서 11월 17일부터 12월 1일까지 개최 중인 특별 전시는 서세승 위원장이 직접 기획·주관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몽골 블루선 현대미술센터 나르바야스갈 미술감독, 몽골 화가협회 히식수렌, 유목민적 정서와 도시적 감각을 결합해 주목받는 시지르바타르 작가 등이 참여해 몽골 현대미술의 폭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또한 같은 기간 도쿄 하라주쿠 디자인 페스타 갤러리에서 열리는 '붉음에서 붉음으로' 전은 몽골 Z세대 작가 할리운과 초그빌리그의 특별 기획으로, 미래 세대가 바라보는 아시아 현대미술의 방향성과 감각을 선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젊은 창작자들의 실험적 시도는 아시아 예술이 앞으로 나아갈 길을 가늠하게 하는 중요한 장이 되고 있다.
새로운 아시아 미술 패러다임의 구축
칠곡문화예술위원회와 몽골 블루선 현대미술센터의 활동은 한국·몽골·중국·일본으로 이어지는 다층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새로운 아시아 현대미술 패러다임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서세승 위원장과 솔롱고 바트사이한 대표가 보여주는 비전과 리더십은 단순한 프로젝트 협력을 넘어, 아시아 미술이 세계 미술사의 한 페이지를 새롭게 장식하는 데 있어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두 리더의 행보는 아시아 예술의 국제적 위상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고 있으며, 동시대 세계 미술계에 새로운 질서를 제시하는 역사적 변화로 기록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