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월 11일(목) ~14일(일)까지 달오름극장

[아트코리아방송 = 이용선 기자] 국립극장은 오는 12월 11일(목)부터 14일(일)까지 달오름극장에서 음악극 '공생,원'을 초연한다.

 

음악극 '공생,원' 포스터. 제공 국립극장
음악극 '공생,원' 포스터. 제공 국립극장

본 공연은 일제강점기 조선인 고아들을 돌보며 공생원을 운영했던 일본인 여성 윤학자(다우치 치즈코)의 실화를 바탕으로, 일본인도 조선인도 아닌 어머니라는 이름으로 살아간 한 여성의 선택과 삶의 가치를 조명한다. 특히 한글·일본어 자막과 수어 통역, 스마트 안경 등 국립극장의 업그레이드된 무장애(Barrier-free) 서비스가 총동원된 무대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공생,원'은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 공연으로, 조선총독부 관리의 딸로 조선에 건너온 다우치 치즈코가 조선인 윤치호와 결혼해 한국 이름 윤학자를 택하고, 창씨개명과 차별이 일상화된 시대 속에서 부모 없는 아이들을 돌보며 공생원을 일군 여정을 다룬다. 작품은 공생원에서 자란 인물 범치의 회고로 시작되며, 주변의 경계와 시대의 압박 속에서도 윤학자가 공생원을 지켜내기 위해 감내한 선택과 갈등을 다면적으로 담아낸다.

 

연출은 창작 연극·뮤지컬계에서 굵직한 작품을 선보여온 김달중 연출가가 맡아, 비선형적 구조와 시공간을 넘나드는 구성으로 인물의 기억과 시대의 흐름을 교차시킨다. 원형 회전무대를 활용한 장면 전환은 윤학자가 살아낸 격변의 시간을 입체적으로 시각화해 극적 몰입도를 높인다. 극본은 뮤지컬 '날아라, 박씨!', '정가네 늘보' 등에서 독창적 세계관을 구축해 온 정준 작가가 집필했으며, 작곡가 황경은은 6성부 아카펠라 넘버와 국악·양악이 공존하는 음악으로 공생원의 공간적 정서를 섬세하게 풀어낸다.

 

출연진 역시 무게감을 더한다. 윤학자 역에는 배우 송상은과 박미용이 더블 캐스팅돼, 젊은 시절의 윤학자와 남편 실종 이후의 쇠약해진 윤학자를 각각 연기하며 한 인물의 복합적 감정을 입체적으로 펼쳐낸다. 공생원 출신이자 극의 내레이터 역할을 맡은 범치 역은 배우 임진웅이 맡아 작품 전체의 서사를 안정적으로 이끈다.

 

이번 초연의 핵심은 더욱 강화된 접근성 서비스다. 국립극장은 기존의 일괄 수어 통역 방식에서 한 단계 나아가, 배역별 전담 수어 통역사 6명을 투입해 인물의 감정과 상황을 세밀하게 전달한다. 또한 국립극장 최초로 스마트 안경을 도입해, 착용한 관객은 무대 위 상황과 대사를 실시간 자막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본어 대사는 무대 양옆의 모니터 자막으로 제공되며, 시각장애 관객을 위한 폐쇄형 음성 해설 서비스도 지원해 누구나 동등하게 공연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음악극 '공생,원'은 시대의 경계를 넘어선 헌신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의미를 묻는 작품으로, 동시대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매 및 문의는 국립극장 홈페이지또는 전화로 가능하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