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4일 – 2026년 1월 4일

[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리움미술관이 한국 동시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이불의 대규모 서베이 전시 이불: 1998년 이후를 오는2026년 1월 4일까지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작가의 지난 40여 년의 행보 가운데, 1990년대 후반 이후 전개된 주요 작업들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자리로 총 150여 점의 작품이 출품된다. 퍼포먼스, 조각, 설치, 평면을 넘나들며 신체·기술·사회 구조를 탐구해 온 이불의 사유가 한 전시 안에서 집약적으로 드러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이불, 1998년 이후의 세계를 다시 묻다-리움미술관 대규모 서베이 전시 개막-사진제공 리움미술관
이불, 1998년 이후의 세계를 다시 묻다-리움미술관 대규모 서베이 전시 개막-사진제공 리움미술관

 

기술 시대의 신체,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전시의 서두는 작가의 대표적 초기작인 사이보그와 아나그램, 그리고 노래방 연작에서 시작된다.

1990년대 후반 국제 무대에서 큰 주목을 받았던 이 작업들은 기술이 인간의 몸을 어떻게 재구성하며, 인간의 욕망과 불멸의 상상력이 어떻게 신체를 둘러싼 새로운 서사를 만들어내는지를 탐구한다.
블랙박스 공간에 설치된 태양의 도시 II는 거대한 거울 구조 속에서 신체의 확장과 붕괴, 정체성의 흔들림을 반복적으로 비추며 전시의 출발점을 상징적으로 제시한다.

거대서사의 붕괴 이후, 1998년부터 이어진 또 하나의 궤적
이번 전시의 중심에는 2005년부터 이어져 온 건축적 설치 연작 몽그랑레시가 자리한다. 작가가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의 거대서사의 붕괴 개념을 변주하여 스스로 구축한 조형 세계다.

이불은 이 연작을 통해 모더니티가 남긴 유령 같은 잔향, 유토피아의 꿈과 폐허, 공동체의 기억과 역사의 조각들을 한 화면 위에 얽어낸다.
러시아 구축주의, 브루노 타우트의 건축, 유토피아 문학과 낭만주의 회화, 그리고 한국 근현대의 정치·사회적 맥락들이 복잡한 지층처럼 겹겹이 쌓여 거대한 조형적 지형도를 형성한다.

그라운드갤러리에서는 몽그랑레시를 대표하는 대형 설치 작품과 함께 작가의 해석과 연구 과정이 담긴 드로잉, 모형, 평면 작업들이 대거 소개된다.
특히 취약할 의향, 퍼듀와 같은 2010년대 중반 주요 평면 연작들은 이불이 조형적 사고를 어떻게 확장하고 변주해 왔는지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점이다.

예측 불가한 풍경, 이불 작품 세계의 총체적 체험
이번 전시는 단순한 회고전의 구성을 넘어서, 관람객이 이불의 세계를 직접 가로지르는 길을 만들어낸다.
미로처럼 열린 공간 안에서 우리는 거울, 금속, 유리, 절단된 구조물, 공중에 떠 있는 비행선, 별빛이 반사되는 듯한 표면을 지나며 물리적 경험과 심리적 경험을 동시에 맞닥뜨린다.

전시는 시간의 시작도 끝도 명확히 구분하지 않는다.|관람객은 자연스럽게 흐르는 동선 속에서 폐허와 미래, 이상과 실패, 기억과 잔향의 파편들을 스스로 이어 붙이며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 구조를 체감하게 된다.

신체와 기술, 인간과 비인간, 미래와 잔존물.
이불의 전시는 이러한 구조들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을 보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전시 개요
전시명 이불: 1998년 이후
기간 2025년 9월 4일 – 2026년 1월 4일
장소 리움미술관 블랙박스, 그라운드갤러리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