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프리뷰 & 베르니사쥬: 2025년 10월 22일(수) 오전 10시–오후 8시; 10월 23일(목)
퍼블릭: 2025년 10월 24일(금)–26일(일) 오전 11시–오후 7시
장소: 프랑스 파리 그랑 팔레(Grand Palais), 국제갤러리 부스 C39

[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국제갤러리가 오는 10월 22일부터 26일까지 프랑스 파리의 그랑 팔레(Grand Palais)에서 열리는 세계적 현대미술 행사 ‘아트 바젤 파리(Art Basel Paris) 2025’에 참가한다. VIP 프리뷰는 10월 22일과 23일, 일반 관람은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되며, 국제갤러리는 메인 섹터 ‘갤러리즈(Galeries)’ 내 C39번 부스에서 한국 및 해외 현대작가들의 주요 작품을 선보인다.

김윤신(b. 1935)〈내 영혼의 노래 2006-145〉2006Oil on canvas70 x 102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안천호 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김윤신(b. 1935)〈내 영혼의 노래 2006-145〉2006Oil on canvas70 x 102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안천호 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최재은(b. 1953)〈우리가 처음 만났을 때〉2024Pressed flowers on 15 urushi lacquered wood panel, framed15 pieces, 31 x 22.6 x 3 cm each panel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전병철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최재은(b. 1953)〈우리가 처음 만났을 때〉2024Pressed flowers on 15 urushi lacquered wood panel, framed15 pieces, 31 x 22.6 x 3 cm each panel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전병철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국제무대에서 주목받는 한국 갤러리의 존재감
전 세계 41개국 206개 갤러리가 참여하는 이번 아트 바젤 파리는 ‘갤러리즈(Galeries)’, ‘이머전스(Emergence)’, ‘프레미스(Premise)’의 세 섹터로 구성된다. 특히 국제갤러리는 첫 해부터 한국 갤러리로는 유일하게 꾸준히 참가해 왔으며, 이번에도 한국 여성작가와 국제작가들의 교차적 시선을 집중 조명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 1세대 여성 조각가 김윤신, 교토 기반의 작가 최재은, 그리고 세계무대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함경아, 양혜규, 박진아, 강서경의 작품을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폭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함경아(b. 1966)〈부유하는 신비의 니꼴린, Detail From SMS Series 07〉2018–2019North Korean hand embroidery, silk threads on cotton, middle man, smuggling, secret code, bribe, tension, anxiety, censorship, ideology, wooden frame55 x 75 cmFramed: 57.2 x 77.2 x 4.6 cm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전병철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함경아(b. 1966)〈부유하는 신비의 니꼴린, Detail From SMS Series 07〉2018–2019North Korean hand embroidery, silk threads on cotton, middle man, smuggling, secret code, bribe, tension, anxiety, censorship, ideology, wooden frame55 x 75 cmFramed: 57.2 x 77.2 x 4.6 cm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전병철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양혜규(b. 1971)〈유선 더듬이와 양안 뷰잉 – 신용양호자 #370〉2018Various security envelopes, graph paper, laser prints,self-adhesive holographic and reflective vinyl film, mounted on alu-dibond,framed, self-adhesive holographic and digitally color printed vinyl film2 parts, 29.2 x 29.2 cm; 57.2 x 57.2 cmCourtesy of Kukje Gallery사진: © 양혜규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양혜규(b. 1971)〈유선 더듬이와 양안 뷰잉 – 신용양호자 #370〉2018Various security envelopes, graph paper, laser prints,self-adhesive holographic and reflective vinyl film, mounted on alu-dibond,framed, self-adhesive holographic and digitally color printed vinyl film2 parts, 29.2 x 29.2 cm; 57.2 x 57.2 cmCourtesy of Kukje Gallery사진: © 양혜규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한국 여성작가들의 철학과 세계관
김윤신의 회화 〈내 영혼의 노래 2006-145〉(2006)는 자연을 단순한 관조의 대상이 아닌 ‘합일의 주체’로 바라보는 작가의 철학을 반영한다. 자유분방한 색채와 선, 질감은 생명력의 본질과 존재의 영속성을 표현한다.

교토에서 작업 중인 최재은의 〈우리가 처음 만났을 때〉(2024)는 길가에서 만난 들꽃을 액자화한 작품으로, 각각의 이름을 불러줌으로써 일상과 자연, 우주의 순환을 성찰한다. 그녀는 올해 12월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에서 개인전을 앞두고 있다.

함경아의 자수 회화 〈부유하는 신비의 니꼴린, Detail From SMS Series 07〉(2018–2019)은 남북의 사회적 단절과 현대인의 소통 방식을 재해석한다. 북한 공예가들에게 영문 단어와 케이팝 가사를 숨긴 디자인을 자수로 구현하게 한 이 작업은 ‘금지된 소통’을 예술적 대화로 전환시킨다.

박진아(b. 1974)〈돌과 설명서 02〉2023Oil on linen90 x 120 cm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안천호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박진아(b. 1974)〈돌과 설명서 02〉2023Oil on linen90 x 120 cm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안천호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강서경(1977–2025)〈모라 210 × 163 #05〉2021–2022Silk, gouache, ink, thread210 x 163 x 8 cmCourtesy of the artist's estate and Kukje Gallery사진: 김상태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강서경(1977–2025)〈모라 210 × 163 #05〉2021–2022Silk, gouache, ink, thread210 x 163 x 8 cmCourtesy of the artist's estate and Kukje Gallery사진: 김상태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로버트 메이플소프(1946–1989)〈Lisa Lyon〉1982Silver gelatin50.8 x 40.6 cm© The Robert Mapplethorpe Foundation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로버트 메이플소프(1946–1989)〈Lisa Lyon〉1982Silver gelatin50.8 x 40.6 cm© The Robert Mapplethorpe Foundation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동시대 미술의 지평을 확장하는 작가들
현대미술가 양혜규는 편지 봉투의 보안 무늬를 활용한 콜라주 〈유선 더듬이와 양안 뷰잉 – 신용양호자 #370〉(2018)을 선보인다. 그녀는 현재 미국 세인트루이스 현대미술관과 스위스 미그로스 현대미술관에서 각각 개인전 《의사擬似-하트랜드》, 《윤년》을 개최하며 국제무대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박진아의 〈돌과 설명서 02〉(2023)는 부산시립미술관 초대전 준비 과정에서 포착한 장면을 회화로 옮긴 작품으로, 백스테이지의 일상적 순간을 섬세한 시선으로 재해석한다.

강서경의 〈모라 210×163 #05〉(2021–2022)는 언어학 개념 ‘모라(mora)’에서 영감을 얻은 추상 회화로, 실크 위에 과슈와 먹을 덧칠하며 시간과 서사의 층위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했다.

다니엘 보이드(b. 1982)〈Untitled (MHMLW)〉2025Oil, acrylic, charcoal and archival glue122 x 122 cm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안천호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다니엘 보이드(b. 1982)〈Untitled (MHMLW)〉2025Oil, acrylic, charcoal and archival glue122 x 122 cm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안천호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갈라 포라스-김(b. 1984)〈Signal (MAK Center 10/19/23-01/27/24)〉2024Graphite on gessoed panel182.9 x 182.9 cm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안천호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갈라 포라스-김(b. 1984)〈Signal (MAK Center 10/19/23-01/27/24)〉2024Graphite on gessoed panel182.9 x 182.9 cm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안천호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한국 현대미술의 현재, 파리에서 빛나다
국제갤러리의 이번 참가작들은 자연과 인간, 언어와 감정, 그리고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다양한 시각언어로 풀어내며, 한국 현대미술이 세계 미술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다시금 확인시킨다.

이번 ‘아트 바젤 파리 2025’에서 국제갤러리의 부스는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한국적 사유와 글로벌 감각이 교차하는 장으로 자리할 전망이다.

코라크릿 아룬나논차이(b. 1986)〈The sun of consciousness〉2025Acrylic polymer on metallic foil on bleached denim on inkjet print on canvas101.6 x 88.9 cm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안천호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코라크릿 아룬나논차이(b. 1986)〈The sun of consciousness〉2025Acrylic polymer on metallic foil on bleached denim on inkjet print on canvas101.6 x 88.9 cm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사진: 안천호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엘름그린 & 드라그셋〈Masculinity〉2023Marble, polished stainless steel40 x 27.5 x 32 cmCourtesy of the artists and Kukje Gallery사진: Elmar Vestner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엘름그린 & 드라그셋〈Masculinity〉2023Marble, polished stainless steel40 x 27.5 x 32 cmCourtesy of the artists and Kukje Gallery사진: Elmar Vestner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전시 정보
행사명: Art Basel Paris 2025
기간: 2025년 10월 22일(수)–10월 26일(일)
VIP 프리뷰: 10월 22일(수) 오전 10시–오후 8시 / 10월 23일(목) 오전 11시–오후 8시
일반 관람: 10월 24일(금)–26일(일) 오전 11시–오후 7시 (CET)
장소: 프랑스 파리 그랑 팔레 (Grand Palais)
부스: 국제갤러리 C39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