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의 뿌리 위에 핀 현대 민화의 실험과 확장
[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서울 인사동 경인미술관 6관에서 열리고 있는 제6회 손도창작회 회원전 ‘오색물결’(2025.10.8~13)은 단순히 전통 민화의 계승을 넘어, 동시대적 감각과 작가 개개인의 해석이 결합된 ‘현대 민화의 실험 무대’로 주목된다.
이번 전시는 ‘여섯 번째 이야기’라는 부제를 통해, 단체의 역사적 연속성과 함께 작가들이 전통의 어법 위에서 자신만의 조형 언어를 확장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전통의 문양, 현대의 감각으로 되살아나다
‘오색물결’이라는 전시명처럼, 이번 회원전은 색채와 질감, 표현 방식에서 유독 풍부하고 생동감 있다. 작가들은 호랑이, 봉황, 모란, 십장생 등 전통 민화의 상징적 모티브를 현대의 감성으로 재구성하며, 전통 회화의 정형성을 과감히 벗어난다.
캔버스와 한지, 섬유, 도자, 목재 등 다양한 재료의 결합은 회화적 표현을 입체적 감각으로 확장시키며, 각 작품은 ‘보는 그림’에서 ‘느끼는 예술’로 진화한다. 이처럼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허물며 민화의 본질적 생명력을 새롭게 해석한 점이 이번 전시의 핵심이다.
민화,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넘다
손도창작회 대표 손현주 작가는 이번 전시에 대해 “민화는 원래 서민의 삶 속에 깃든 염원과 소망의 그림이었다”며 “오늘날 작가들에게 그것은 자신의 내면과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자, 시대정신을 담는 예술 언어로 진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의 작가 20인은 모두 각자의 해석을 통해 ‘전통 민화의 현재진행형’을 보여준다. 어떤 이는 길상적 이미지를 현대적 색감으로 재해석하고, 또 다른 이는 섬유와 질감의 중첩을 통해 감각적인 추상성을 드러낸다. 서예와 도예를 결합한 작업에서는 민화의 상징이 조형예술로 확장되는 실험적 시도도 엿보인다.
민화, 오늘의 미술 언어가 되다
‘오색물결’이 던지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민화는 더 이상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현대 미술의 하나의 언어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다. 작가들은 이를 증명하듯 전통의 상징과 현대의 감각을 혼합하여 새로운 시각적 서사를 만들어낸다.
전통의 아름다움에 머무르지 않고, 현대인의 심리와 감성을 담아낸 이번 전시는 민화의 시대적 확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각 작가가 구축해온 조형적 실험의 궤적을 한눈에 보여준다.
여섯 번째 이야기, 예술의 물결로 이어지다
짧은 전시 일정이지만, ‘오색물결’은 단체전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여섯 번째 이야기를 맞이한 손도창작회는 이제 ‘전통의 재현’을 넘어 ‘동시대의 창조’로 나아가고 있다.
화폭 위에 펼쳐진 오색의 흐름은 단지 색의 물결이 아니라, 전통과 현대, 작가와 관람객, 과거와 현재를 잇는 ‘예술의 흐름’이다.
전통의 뿌리 위에 피어난 이 다채로운 현대 민화의 스펙트럼은, 오늘의 미술이 과거와 미래를 어떻게 이어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답변처럼 다가온다.
전시 정보
전시명: 제6회 손도창작회 회원전 ‘오색물결’
기간: 2025년 10월 8일(수) ~ 13일(월)
장소: 경인미술관 6관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10길 11-4)
참여작가: 손현주, 강춘희, 김경희, 김명남, 김미순, 김차영, 김화미, 김희, 남정순, 박경순, 엄미애, 원혜원, 이상미, 전은선, 최은미, 허인수, 황훈영 외 20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