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제주돌문화공원 갤러리 누보(대표 송정희)가 오는 9월 27일부터 11월 27일까지 기획전 '춤이 있는 풍경'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무용전문지 「춤」의 창간(1976) 이래 표지를 장식한 수많은 화가들 중에서도 한국현대미술을 대표하는 거장 김종학, 한국 아방가르드 미술의 개척자 김구림, 그리고 올해 표지를 맡은 황인란 작가를 초청해 마련됐다.
잡지 표지에서 미술 전시장으로
1976년 창간된 '춤'은 무용잡지임에도 표지와 ‘춤이 있는 풍경’ 칼럼을 화가들에게 맡기는 독창적 전통을 이어왔다. 화가들은 매달 춤을 주제로 한 표지화를 선보였고, 글과 삽화를 곁들인 칼럼을 통해 춤에 대한 단상을 기록했다. 이 과정에서 50여 년간 축적된 500여 편의 회화와 글은 한국 춤의 흐름뿐만 아니라 한국현대미술사의 단면을 증언하는 귀중한 자료로 남았다. 2017년에는 이를 엮은 단행본 『춤이 있는 풍경』이 발간되며 춤과 미술의 융합이 예술성과 사료적 가치를 지녔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종근 평론가는 이러한 작업들을 두고 “그림만 잘 모아도 한국판 <춤 그림 박물관>이라 할 만하다”고 말한 바 있다. 이번 전시는 그 말이 현실로 다가오는 자리다.
세 작가, 세 가지 춤의 언어
출품작 40여 점은 각기 다른 시선으로 춤의 본질을 담아낸다.
‘설악산의 화가’ 김종학은 1980년대부터 이어온 ‘춤’ 연작을 통해 화려한 색감과 생동감 넘치는 화면을 선보인다. 이는 춤의 율동과 에너지를 회화적으로 전환한 사례다.
한국 실험미술의 선구자 김구림의 작품은 강렬한 붓터치와 대담한 구성이 돋보인다.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표지 그림은 한국 아방가르드의 정신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올해 표지를 맡은 황인란은 앞선 두 작가와 달리 정적이면서도 화려한 풍경을 그려내며 춤을 사유적 장면으로 해석한다.
이들의 작품은 현실의 억압과 딜레마 속에서도 끊임없이 출구를 찾고, 인간이 본능적으로 갈망하는 자유와 해방을 춤의 몸짓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춤과 미술, 융합의 기록
'춤' 표지에 참여한 작가군은 장욱진, 천경자, 서세옥, 박노수, 최만린, 백남준 등 한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거장들이 포진해 있다. 잡지가 단순히 무용을 기록한 매체를 넘어, 동시대 미술의 흐름까지 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바로 그 연속선 위에서 미술과 춤의 교차점을 확인할 수 있는 장이다.
갤러리 누보 송정희 대표는 “출판 환경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50년 가까이 발간된 「춤」과의 인연이 전시로 이어졌다”며 “일부 작품만 소개되지만 춤의 흥과 율동, 멈춤까지를 화가들의 시선으로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기회”라고 밝혔다.
'춤' 발행인 조유현 대표는 “표지화를 통해 춤과 화가들을 연결한 선친 조동화 선생의 혜안에 감사드린다”며, 이번 전시가 춤의 감동을 새롭게 전달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부대 프로그램과 관람 정보
전시 기간 동안 ‘작가와의 대화’, 전시 해설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전시는 무료 관람이 가능하다. 다만 제주돌문화공원 입장료는 별도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이며, 월요일은 휴관한다.
기획 의의
'춤이 있는 풍경'은 한국 무용과 현대미술이 오랫동안 맺어온 독특한 인연을 시각화하는 자리다. 춤의 몸짓과 화가의 붓질이 만나 만들어낸 화면은 단순한 잡지 표지를 넘어, 한국예술사의 교차점을 기록한 하나의 역사적 장면이다. 이번 전시는 춤과 미술이 함께 써 내려간 풍경의 연대기를 확인할 수 있는 기념비적 기획이라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