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종숙 기자] 환경단체와 지역 주민들은 최근 산청군과 구례군이 추진 중인 ‘지리산 국립공원 케이블카 사업’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며, 환경부 장관과 관계 지자체에 즉각적인 반려·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은 특정 지자체나 국가의 소유물이 아니라, 자연 생태계 생명들의 집이며 전 지구적 공유 공간이라는 것이 이들의 입장이다. 특히 국립공원 자연보전지구는 국토의 1%에 불과하며, 원형 보존이 원칙인 만큼 인위적 훼손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구례군은 케이블카 설치와 함께 성삼재~노고단 구간을 폐쇄·복원하겠다고 주장하지만, 막대한 비용(710억 원 이상)과 적자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군민 복지를 외면한 사업’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과거 친환경 전기버스 도입 합의가 있었음에도 군수가 이를 거부하며 신뢰를 잃은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산청군이 계획한 케이블카는 총 4.2km 구간에 중간 지주 9개, 상부 정류장은 유암폭포 인근에 설치된다. 절반 이상이 자연공원 보존지구를 관통하며, 해당 구역은 생물 다양성이 높고 원시성을 유지한 핵심 보호지역이다. 사업비는 1,220억 원에 달하며, 2024년 한 해에만 신청서 작성과 환경영향평가에 5억 4천만 원이 투입됐다.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비판 여론은 기후 위기 상황과 맞물려 더욱 거세다. 올해 7월 산청에서는 시간당 100mm 이상 폭우와 누적 600mm 폭우로 산사태 피해가 발생했으며, 주민들은 “불필요하게 건드린 곳이 무너졌다”고 지적했다. 케이블카 공사는 산림 훼손과 지반 불안을 심화시켜 향후 재난을 키울 수 있다는 경고다.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또한 전국 케이블카 사업 대부분이 적자라는 점에서, ‘관광 수익’ 명분은 허구에 가깝다는 것이 반대 측 주장이다. 이번 폭우에도 지리산 국립공원 내부가 무사했던 것은 산림 훼손이 없었기 때문이라며, “단 한 대의 굴착기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환경단체는 “지리산 케이블카는 국립공원과 지방재정 모두에 ‘산사태’를 일으킬 사업”이라며, 산청군수·구례군수·환경부 장관·대통령이 즉각 사업 중단을 선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지리산 지키기 사진 제공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