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으로 지킨 나라, 글씨로 남긴 정신-사명대사 선필(禪筆)의 세계를 조명하다
[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조선 중기의 고승이자 승병장, 외교 사절, 그리고 서예가로 불렸던 사명당 유정(惟政, 1544~1610) 대선사의 삶과 사상을 조명하는 특별전이 강원도 평창 오대산 자락, 월정사성보박물관에서 열린다.
월정사성보박물관(관장 해운)은 월정사 중창 435주년을 기념해 오는 7월 12일부터 10월 19일까지 '사명당 유정 대선사, 선필禪筆로 만나다' 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사명대사의 선(禪) 수행과 함께, 그의 정신세계를 압축해 보여주는 서예 유산 ‘선필(禪筆)’에 초점을 맞춰 구성됐다.
사명대사는 조선 중기 폐허로 남아 있던 오대산 월정사의 중창불사를 1587년부터 5년간 주도하며, 사찰을 불교 수행과 신앙의 중심지로 다시 세웠다. 동시에 오대산 사고(史庫) 건립에도 영향력을 발휘해, 오대산을 조선왕조 기록 보존과 불교 문화의 거점으로 만들었다.
전시 1부에서는 사명대사의 진영(眞影)과 원불, 유품 등을 통해 중창 당시의 역사와 사명대사의 수행자적 면모를 소개한다. 특히 '은해사 사명대사 진영', '대곡사 사명당 진영', '영은사 진영' 등은 대사의 생애와 수행의 깊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2부에서는 사명대사의 선필을 통해 그의 문학적 감수성과 정신세계를 살핀다. 사명대사의 글씨는 동시대 문인들에게도 크게 주목받았을 만큼 높은 수준을 지녔으며, 정갈한 해서체부터 활달한 초서체까지 다양한 필체를 통해 수행자이자 문인의 경지를 함께 보여준다.
'부석사 안양루 중창기 현판 및 탁본', '용담취영잡영' 등은 사명대사의 서예 미감과 시적 감성이 조화를 이룬 대표 유물로서, ‘선필’이 단순한 붓글씨를 넘어 수행과 인격의 발현임을 입증한다.
붓으로 평화를 써내려간 외교 사찰의 기록들-임진왜란 이후, 사명대사는 외교 사절로서 일본과의 평화 교섭에 앞장섰다. 이는 단순한 외교의 기록을 넘어, 수행자의 정신이 국경을 넘어 문화로 연결되었던 역사적 단면이기도 하다.
3부에서는 그가 일본 파견을 앞두고 받은 조정의 명령서인 '사명당 유정 교첩'을 비롯해, 문인들이 그를 보내며 지은 시문이 새겨진 목판 '봉별사명대사왕일본' 등이 소개된다. 특히 2024년 국내로 환수된 친필 묵적 《불심종조달마원각대사》는 대사의 정신적 깊이를 상징하는 작품으로, 이번 전시에서 가장 귀한 유물 중 하나다.
마지막 4부에서는 사명대사의 정신이 오늘날까지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를 조망한다. '선가귀감', '약사유리광본원공덕경' 속 발문을 통해 선 수행에 대한 그의 철학을, 소설 '사명대사'와 다양한 현대 자료들을 통해 시대를 넘어 계승되는 스님의 정신을 확인할 수 있다.
사명당 유정은 전란 속에서 붓과 칼, 수행과 실천, 외교와 기록을 모두 품었던 인물이었다. 그가 쌓아올린 것은 단지 전각과 전투의 흔적이 아니라, 선과 평화, 글과 행위가 일치했던 ‘살아있는 정신’이었다. 이번 전시는 그 정신의 원류를 직접 마주하고, 현대에 되새겨야 할 불교의 역할과 인간됨을 성찰하는 뜻깊은 계기를 마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