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속 희망과 대안은? 미술계 정상화를 위한 실질적 해법 논의
[아트코리아방송 = 지유영 기자] 한국미술문화포럼(대표 이병국)은 오는 3월 27일(목) 오후 2시, 서울 인사동 태화빌딩 B1(그레이트하모니홀)에서 ‘한국미술협회 정상화를 위한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위기 – 희망과 대안’이라는 주제로 미술계 및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을 초청, 한국미술협회의 정상화를 위한 미래 발전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최근 한국미협은 제25대 이사장의 직무 정지 및 선거 당선무효에 대한 대법원 최종판결, 그리고 법원으로부터 위임받은 이사장 권한대행자의 사임 등으로 집행부 공백 사태를 맞았다. 이에 따라 차기 집행부 구성을 위한 주관 조직이 부재하고, 2025년 주요 사업이 진행되지 못하는 등 전국적으로 미술협회 회원들이 피해를 입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신임 지부장 인준도 보류되며 협회의 운영이 사실상 마비된 상태다.
이에 한국미술문화포럼은 이번 포럼을 통해 공정하고 공평한 차기 집행부 구성 방안, 협회의 신뢰 회복을 위한 개혁 방안, 미술계의 미래 발전 방향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4개 주요 발제 및 토론 진행, 미술협회 정상화 방안 모색
이번 포럼은 주요 이슈별 4개 발제와 패널 토론으로 진행된다.
이병국 대표(한국미술문화포럼) : “정직하고 품격 있는 한국미협”
배기열 원장(배기열융합예술원) : “한국미술협회, 해외에서 답을 찾다”
임효정 대표(더무브) : “밖에서 바라보는 미협에 대한 미술인의 시선과 바라는 점”
박명인 미술평론가 : “한국미술협회, 이대로 방관할 수 없다”
배성미 학과장(수원과학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한국미협의 신뢰성 회복과 나아갈 방향”
발제 후에는 패널 간 심층 토론과 청중 질의응답을 통해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을 통해 도출된 의견과 대안은 한국미술문화포럼에서 공식적으로 정리, 미술계 및 정부 관계기관과 공유할 예정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국미협 정상화 추진위원회’ 발족과 같은 후속 조치도 논의될 계획이다.
이번 포럼은 미술계 관계자뿐만 아니라 미술협회 회원 및 관심 있는 누구나 참석 가능하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사전 홍보를 통해 참여를 독려할 예정이다.
이병국 대표, “공정하고 투명한 미협으로 거듭나는 계기 될 것”
이번 포럼을 주최한 이병국 대표(한국미술문화포럼)는 “이번 위기를 기회로 삼아, 한국미협이 보다 공정하고 투명한 협회로 거듭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해결책을 도출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미술계의 다양한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며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한국미술협회의 정상화를 위한 이번 포럼이 혼란에 빠진 한국 미술계를 바로잡을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지, 미술계 안팎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