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지유영 기자]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전당장 직무대리 김상욱)이 오는 3월 21일부터 22일까지 예술극장에서 대표 레퍼토리 공연 ‘두 개의 눈’을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전통 판소리와 미디어아트를 결합해 더욱 확장된 무대를 선보이며,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ACC의 대표 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다.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2018~2020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문화기술연구개발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두 개의 눈’은 2021년 ACC에서 초연된 이후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2021년 국립극장 여우락(樂)페스티벌 개막작, 국립무형유산원 K-무형유산페스티벌 폐막작, 2023년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쿼드극장 초청공연, 2024년 키르기스스탄 건국 100주년 기념 초청공연을 거쳤으며, 2026년 대만 전통극장 초청공연이 예정되어 있어 글로벌 예술 교류를 견인하는 작품으로 자리 잡았다.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이 작품은 전통 판소리 다섯 마당 중 하나인 ‘심청가’를 기반으로 하지만, 기존의 ‘효녀 심청’의 서사가 아닌 심청의 아버지 심학규의 시선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눈이 먼 심학규가 세상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는지를 중심으로 *‘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의미를 탐구하며, 전통적 서사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다.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ACC 개관 10주년을 맞아 더욱 발전된 형태로 돌아온 이번 공연은 전통 판소리 형식을 현대적으로 확장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가로 12m, 세로 22m 크기의 대형 LED 스크린과 키네틱 레이저를 활용한 무대 연출이 도입되어 배우들의 입체적인 움직임과 극적인 몰입감을 극대화한다.

전통 마당놀이 형식을 현대적으로 변형해 무대와 관객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실시간 상호작용 기술을 활용해 관객이 공연의 일부가 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전통 판소리가 가진 표현 방식을 더욱 확장하는 동시에, 현대 관객들에게 더욱 친숙하고 몰입감 있는 공연을 선사한다.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두 개의 눈’*은 미디어아트와 음악을 결합해 실험적인 무대를 선보이는 *‘무토(MUTO)’와 전통 판소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입과손스튜디오’*의 공동연출로 탄생했다. 전통 판소리의 서사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요소를 결합하여 감각적인 무대를 완성했다.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김상욱 직무대리는 “ACC 개관 10주년을 맞아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대표 레퍼토리 공연을 다시 무대에 올리게 되어 뜻깊다”며, “이번 공연을 통해 전통 판소리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관객들과 더욱 긴밀하게 소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판소리와 미디어아트의 만남 – ACC 대표 공연 ‘두 개의 눈’- 사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이번 공연은 전통 판소리와 현대 미디어아트가 결합한 독창적인 무대로, 국내외 관객들에게 색다른 예술적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