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과 치유, 감각의 확장을 탐구하는 예술적 여정
[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서울 성북구 우리옛돌박물관에서 2025년 3월 13일부터 5월 4일까지 전시 《寒樹, 고요한 맥박 / Silent Pulse》가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시간이 남긴 흔적과 치유의 과정을 예술적으로 탐구하는 전시로, 메산, OMA Space, 서희수, 정수경, 알코브 등 5팀의 작가가 참여해 영상설치, 조각설치, 공간설치, 도자조형, 분재, 미드센츄리 가구 컬렉션 등 5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寒樹, 고요한 맥박》은 겨울에서 봄으로 이어지는 변화 속에서, 시간이 쌓인 흔적과 성장의 가능성을 조명하며 치유와 감각의 확장을 경험하는 공간을 연출한다. 각 층별 전시 공간은 ‘새살(Healing Flesh)’, ‘결(Grain of Time)’, ‘숨(Breath of Light)’으로 구성되며, 공간과 조형물이 상호작용하며 자연의 생명력과 감각적 요소가 결합된 몰입형 환경을 조성한다.
1층 ‘새살 (Healing Flesh)’
서희수 작가는 거친 나무껍질과 이끼를 활용해 상처와 회복의 과정을 조형적으로 탐구한다.
‘고요한 암호(The Silent Code)’ 시리즈는 자연 속 균사체의 네트워크를 통해 인간과 생태계의 보이지 않는 연결을 조명한다.
메산의 이끼석 조형물은 고요한 치유의 상징으로, 관객이 자신의 내면에 자리한 회복의 가능성을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2층 ‘결 (Grain of Time)’
정수경 작가의 유리 조형 작품과 메산 분재의 협업으로 구성된 공간은, 시간이 만든 흔적과 성장의 증거를 탐구한다.
가마 속에서 형성된 정수경 작가의 유리 조형은 통제할 수 없는 열과 시간 속에서 유기적으로 변형되며, 빛의 투과와 굴절을 통해 깊이 있는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미드센츄리 빈티지 가구 브랜드 알코브의 컬렉션이 공간에 배치되며, 시간이 축적된 듯한 감각적 경험을 조성한다.
3층 ‘숨 (Breath of Light)’
OMA Space의 키네틱 조각 설치작품 ‘Infinity’는 시간의 흐름과 존재의 변화를 시각화한다.
패브릭 월과 빛의 움직임을 활용한 몰입형 공간에서, 관객은 감각이 확장되고, 변화의 순간을 체험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메산의 분재는 빛의 흐름에 따라 실루엣이 변화하며, 자연과 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장면을 연출한다.
자연과 인간, 예술로 이어지는 치유와 공존의 메시지
이번 전시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탐색하며, 지속 가능한 예술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성북동 우리옛돌박물관의 석조 유물과 고즈넉한 자연 속에서, 관객들은 역사와 전통을 향유하며 재충전의 기회를 갖는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분재는 단순한 취미를 넘어 MZ세대가 주목하는 힐링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번 전시는 자연 친화적 라이프스타일과 예술을 연결하는 새로운 감각적 제안을 담고 있다.
전시는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과 함께 진행되며, 관객들에게 더욱 깊이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메산 분재 클래스 (국내 분재 전문가 유수형 교수)
분재의 기본 개념과 예술적 탐구, 사유원 견학 등을 포함한 3회차 워크숍 진행
분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예술적 실천으로 확장하는 새로운 접근 제공
킨즈키 클래스
일상 속 물건을 예술 작품으로 재탄생시키는 창조적 경험 제공
봄찻자리 ‘梅花春興’ by boan1942. mongjae
고대 회화 감상과 현대 도예작가의 다기와 함께하는 차문화 체험
알코브 미드센츄리 모던 디자이너 특강
빈티지 가구의 예술적 가치와 현대적 재해석을 탐색하는 시간
작가별 아티스트 토크
이번 전시는 시간과 치유, 감각적 확장의 과정을 탐구하며, 예술을 통해 회복과 성찰의 순간을 제공하는 깊이 있는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예술과 자연이 만나 감각을 확장하는 공간 속에서, 각자의 내면을 탐색하는 특별한 여정을 만나보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