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의 정원 - 드넓은 기억의  풍경들
세계는 크다, 하지만 우리들의 내부에서 그것은 바다처럼 깊다-Rainer Maria Rilke
조형예술학박사 한 광숙

자연(自然)은 예술가들에게 세계에 대해 모든 것을 상상하도록 하고  혹은 번역해야 할 과제를 부여한다. 우리들은 바다나 광야의  무한함 위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도,  명상하는 가운데 단순한 기억이나 추억에 의해 그 웅장함을 향한 관조의 반향을 우리들의  내부에서 새롭게 할 수 있다. 그것은 정녕 추억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몽상가(예술가)의 상상력이 그 홀로 무한함과 드넓음의 이미지들을 끊임없이 확장시킬 수 있지 않은가? 

꽃의기억 53x40.9 oil on canvas-박명호 작가
꽃의기억 53x40.9 oil on canvas-박명호 작가

자연의 장소를 은밀한 곳으로 인도하기 위해  낭만주의 화가의 감성을 느끼게 하는  박명호 의 작품 전시는  “녹색의 정원 ; 드넓은 기억의 풍경들”  이란 테마로 시작한다.

그의 작품에서 대부분을 이루는 소재들은 크게 셋으로 구분되어진다.

첫째, 그의 유년시절은 ‘바다’의 기억을 담은 풍경들이다. 늘 푸른 바다의 초록빛 물결, 구비치는 파도 역시 녹색의 끝없는 솟아오름으로 역동한다. 그 위를  떠도는 배 한 척은 그야말로 장엄함을 이룬다. 과거의 드넓은 기억의 편린들을 이토록 생생한 에너지로 다시 돌이켜 담아낼 수 있는가? 그에게 있어서 바다는 자연의 한 부분이 아니라 전체이며 무한함을 향한 항해의 발판인 것이다.

꽃의 기억 53x45.5 oil on canvas-박명호 작가
꽃의 기억 53x45.5 oil on canvas-박명호 작가

둘째, 그의 풍경 속에는 바다와 들판은 색으로 구분되어지지 않는다.  

들판이 바다색이고 바다가 들판색을  이룬다. 멀리서 비쳐 오는  알 수 없는 영원의 빛은 바람에 흔들리는 들풀들에 의해서 그 화려함을 드러낸다. 더 나아가 황금빛의 들판을 연상하게 하면서 그 녹색의 강한 힘은 소멸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말하는 것은 자연을  ‘녹색의 정원’으로 번역할 때 상징적 기호로서 사용한 것이며 그것은 희망적 요소를 가득 담고있지 않은가?

꽃의기억 53x40.9 oil on canvas-박명호 작가
꽃의기억 53x40.9 oil on canvas-박명호 작가

셋째, 그의 작품 속에는 다른 풍경과 차별된 이미지가 전개된다. 그것은 다름 아닌 우리가 정물이라고 말하는 ‘꽃’이 새롭게 등장하는데 그가 그려내는 꽃은 완전한 의미의 꽃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확대’된 꽃의 이미지는 그의 바다 풍경 속에서 발견하는 ‘배’ 한척의 존재와도 같다. 왜냐하면 바다를 그리듯이  배경을 처리하고 꽃을  풍경처럼 표현했기 때문이다.

꽃의기억 53x45.5 oil on canvas
꽃의기억 53x45.5 oil on canvas

이처럼 그는 어떤 대상을 바라볼 때 재현적 태도에서 벗어나 “감정”의 형태를 만들어 내고자한 것이다.      

보들레르(C. Baudelaire)의 텍스트에서 이야기한 것과 같이   ' 예술작품이 표현해 주는 것은 결코 어떤 개념 자체보다는 그것이 주는 감정(感情)과 감동(感動)이고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차라리 감정과 감동의 ‘형태’이고 ‘형태’의 내용을 완성하는 것은 감상자나 관람객이다.'

폭포(행운이 쏫아지는 폭포) 53x40.9 oil on canvas
폭포(행운이 쏫아지는 폭포) 53x40.9 oil on canvas

자연을 드넓은 세계처럼 바라보기 위한 박명호 회화의 비젼은 “녹색의 정원; 드넓은 기억의 풍경들”이란 테마로 그 자신의 회화만이 군림할 수 있고 영원히 살아 숨쉴 수 있는 생명 성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