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이향지 사진작가의 탐승기1 '금강산' 사진집을 묶은 첫 사진집이 나왔다.

인사동에 위치한 갤러리 인덱스에서는 2024년 11월 6일~11월 11일까지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첫 사진집이 전시된다.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작가의 말

금강산 사진집 묶었습니다.
금강산 사진전 엽니다.
첫 사진집이며, 첫 전시회입니다.
역행하는 재미.

저에게로 온 시간이 그러하였으니,
우리 앞으로 온 시대의 내용이 그러하였으니,
물이 기슭에 머무를 수 없듯이,
그 기슭의 아픔을 함께 살아내야 했습니다.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금강산에 밥을 구하러 가지 않았으나, 슬펐으며,
재미를 구하러 갔던 것도 아니었으므로 더욱 슬펐습니다.
금강산이 거기 있었으므로, 누군가는 찾아가서
그 산의 쓸쓸함을 달래주고 싶었습니다.

제 앞에 남은 날들이 그리 많지 않음을 알기에,
그날의 빛들을 한 번 더 만나 보려고,
두 겹의 행사를 마련합니다.

산 사진은 저의 재현이기도 합니다.
발밑을 조심하며 걷는 것은 산꾼들의 습관입니다.
산의 호흡을 좀 더 유지하도록 하겠습니다.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금강산에 부쳐

우리에게 소동파(蘇東坡)로 잘 알려진 북송대의 중국 시인 소식(蘇軾, 1037-1101)이 “고려국에 태어나서 금강산을 한 번 보는 것이 소원이다”라고 했듯이 예로부터 금강산은 국내외 선인들의 버킷리스트에 올라 있었다. 금강산 계곡에 무려 180여 개의 사찰이 있었으니 지상의 불국정토가 고려국에 있다고 선인들은 굳게 믿었던 것 같다. 

그런데 10년씩이나 장마철 먹구름 사이로 햇살 비치듯이 금강산 가는 길이 열려 있었는데 나는 끝내 거길 가보지 못했다. 해금강 입석리가 고향인 이 씨 형제, 온정리에서 단신 월남한 장 씨, 그리고 스물세 살에 아들을 업고 혼자 내려온 김 여사 등 ‘너무나 긴 세월, 한을 삭이며 살아온’ 실향민들이 먼저 다녀와야 내 차례가 온다고 기다렸다.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이향지의 탐승기1 '금강산'

시급한 것은 불국정토보다는 통일정토였다. 간다면 그때 거길 가보고 싶었다. 그러나 어느 날 불현듯 다시 길이 막히고 금강산은 이제 이승의 삶처럼 다음을 기약할 수 없는 먼 산이 되고 말았다. 이런 속사정을 짐작이라도 했던 것일까. 시인이자 산꾼인 이향지 선생이 무거운 카메라를 들고 금강산 취재와 답사를 세 번씩이나 다녀와 우리에게 금강산의 마지막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도 사계절을 달리해 다녀왔으니 연초록 나뭇잎이 돋아나는 봄의 금강(金剛), 신선이 살고(蓬萊), 단풍이 들며(楓嶽), 바위뼈(皆骨)가 드러난 금강산의 비경을 우리는 가지 않고도 고스란히 짐작해 볼 수 있다. 물론 북쪽의 통제와 안내에 따라 산에 올랐겠지만 그의 눈길은 이에 굴하지 않고 금강 여기저기를 훑는다. 거칠 것 없이 자유로우며 또 자유로워서 거칠 것이 없지만 동행한 가이드(관광조장)를 난처하게 할 정도는 아니다.

이규상 글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