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갤러리애플(관장 양계실)에서는 2024년 10월 8일(화)부터 10월 17일(목)까지 화가 김용주의 16번째 개인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고성리의 아침Ⅳ>(2024), <고성리의 아침Ⅲ>(2024)을 비롯, 2024년도에 제작한 제주 바다를 27점을 선보인다.
김용주 작가는 제주대학교사범대학 미술교육과를 졸업한 후 제주에서 교편을 잡다가 1990년부터는 서울에서 중등미술교사로 재직하였다. 2017년 퇴직 후 고향으로 돌아와 작품 활동에만 매진하고 있다. 그는 제주 자연의 생명력과 아름다움을 강한 에너지를 담아 격정적으로 표현한다. 특히 바람이 만든 제주 풍경들이 그의 주요 소재이다. 김용주는 바람이 만들어낸 바다, 숲과 나무 등을 형태에 집착하지 않고 자유로운 붓질로 표현하여 작가만의 또 다른 자연을 선보이고 있다. 밤잠을 설쳐 가며 고향의 자연을 관찰하고 화폭에 담아내기를 반복한 작가는 매년 1회 이상의 개인전을 개최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본 전시의 출품작 중 상당수는 제주시 종달리, 고성리, 신산리로 이어지는 아침 바다를 모티브로 한다. 형태의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표현하고자 작가는 붓 대신 손과 손가락, 그리고 페인트붓을 도구로 사용하였다. <고성리의 아침Ⅳ>(2024)에서 그는 검은 바위와 물결을 점, 선, 면으로 수묵화처럼 농담을 살려 표현했다. 그는 마치 초서(草書)를 쓰는 듯 순간의 호흡으로 획을 긋는다. 화면에 서로 뒤엉킨 거친 붓질들은 마침내 고향으로 돌아와 대자연을 오롯이 자신의 품안으로 받아들인 그의 몸짓이라 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10월 17일 목요일까지 제주시청 건너편에 위치한 갤러리애플에서 하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작가노트
덮치고 파고들고 물러서서
새해 첫날 고성리 바다에서 일출을 보려 했으나 해돋이는 보지 못하고 지나간 해의 자리만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나에겐 바다가 있었다.
망망한 바다에서 밀려오는 파도를 보면서 하염없이 서 있었다.
파도는 밀려와 앞선 파도와 바위를 덮치더니 물길 속으로 파고들고 주욱 물러서서 잠시 멈추고 대열을 정리하는가 싶더니 다시 달려들어 덮치기 시작한다.
‘덮치고 파고들고 물러서서’
이렇게 쓰고 반복해서 읽었다.
파도의 행위가 내가 그림 그리는 행위와 닮아 있었다.
텅 빈 캔버스를 물감으로 덮치고 물러서서 보다가 다시 덮치다가 물러서서 본다.
끊임없이 파도가 밀려와 덮치듯 작가는 끊임없이 캔버스를 채우고 덮쳐야 하는 운명을 가진 사람이다.
마치 파도처럼.
김용주(金庸柱 / Kim,Yong-Joo)
1958 제주생
1981 제주대학교 미술교육과 졸업
▸개인전
2024 제16회 덮치고 파고들고 물러서서(갤러리애플 초대/ 제주)
2024 제15회 빛나는 순간(TEDDYPALACE 기획 초대/테디팰리스 갤러리/ 제주)
2024 제14회 제주 동쪽(아트인 명도암/ 제주)
2023 제13회 바람바당(인사아트센터 B1 제주갤러리/ 서울)
2023 제12회 아침에 만나는 바다(갤러리 ED/ 한라일보사 1층)
2022 제11회 바람 생기는 데(제주특별자치도문예회관 제1전시실)
2021 제10회 오늘도 바다로 간다(Gallery ICC JEJU/ 제주)
2021 제9회 살아있는 바다(제주특별자치도문예회관 제1전시실)
2020 제8회 귀향-자연에서 자유를 찾다(예술공간 이아 전시실2/ 제주)
▸최근 주요 단체전
2024 창작공동체우리×우진청년작가회 교류展(서귀포예술의전당)
갤러리애플 초대 ‘초록동색’ 창립전(갤러리애플/ 제주)
4·3미술제<봄은 불꽃처럼>(산지천갤러리/ 제주)
2023 한국·인도 수교 50주년 기념 국제미술교류전(제주특별자치도문예회관 전시실) 제 27회 제주미술제 ‘모던제주’(산지천 갤러리/ 제주)
2023 아트페스타인제주–LOOP; HARMONY(산지천갤러리/ 제주)
바다가 하늘이다<후쿠시마 조삼모사>(아르떼숲/ 서울)
한라미술인협회 특별기획전 TURNING POINT 2023(제주갤러리/ 서울)
우진청년작가회☓창작공동체우리(우진문화공간/ 전주)
2022 2022 인도 뭄바이 비엔날레(Sir J. J. School of Art)
TURNING POINT 2022(제주갤러리/ 서울)
2022 제주가치전(포지션 민/ 제주)
2021 2021 전주x제주 교류전<교감과 연대>(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
2020 2020 제주미술제 ‘제주동인’(제주도립미술관)
김용주☓이종후展 물+흙(둘하나갤러리/ 제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