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이용선 기자] 추가열 한국음악저작권협회 회장이 4일 오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국제 음악 창작자 세미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추가열 회장은 이날 "협회가 5년 만에 국제 행사를 또다시 개최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 어려운 시국을 뚫고 서울을 방문해 주신 각 나라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린다"면서 "창작자의 저작권 보호는 우리의 주요 도전 과제이고 업계의 현황을 제대로 파악해 한 곳으로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음악에는 경계도 없고, 차별, 한계도 없다. 음악은 우리의 언어이다"라며 "이 근간을 잘보호하고 창작자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힘써야 한다. 오늘 참석하신 분들이 주요한 교량 역할로 뜻을 모아 총체적인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면서 이번 세미나의 개최 의미에 대해 강조했다.
'국제 음악 창작자 세미나'는 전 세계 음악 창작 산업 최신 현안을 논의하는 세미나로 2017년 5월 개최 이후 서울에서는 두 번째로 진행됐다. '아시아태평양음악창작자연맹, 한국음악저작권협회(한음저협), 국제저작권관리단체연맹(CISAC)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국내에서도 분야를 막론하고 오랜 이슈로 자리 잡고 있는 매절 계약에 대해서는 엘리스 리 홍콩대 교수의 발제로 박학기 한음저협 부회장, 벤자민 응 CISAC 아시아태평양 이사, 노타폴 스리촘콴 태국음악저작권협회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사적복제보상금 제도를 주제로는 고려대 이대희 교수 발제로 아리엔 몰레마 세계음악창작자연맹(CIAM) 부회장, 사토시 와타나배 CISAC 아시아태평양 위원회 의장, 이도연 한음저협 이사, 퓨리 아뮤르 인도음악저작권협회 이사도 참여해 제도 도입에 대한 필요성을 역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