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과 그림으로 소통한 두 임금, 영조와 정조의 이야기

[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2024년 영조英祖(재위 1724-1776) 즉위 300주년을 맞이하여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12.8.-‘24.3.10.)을 개최한다. 영조와 정조正祖(재위 1776-1800)가 ‘탕평한 세상’을 이루기 위해 ‘글과 그림’을 활용해 소통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에 주목하는 전시다. 영조와 정조가 쓴 어필御筆과 두 임금의 의도를 반영해 제작된 궁중행사도 등 18세기 궁중서화의 화려한 품격과 장중함을 대표하는 54건 88점을 선보인다. 
*국보 1건, 보물 11건, 세계기록유산 5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1건이 포함됨.

도4-삽살개
도4-삽살개

 

영조가 왕세제로 책봉되고 즉위하는 과정에서 왕위 계승 문제로 신하들 간 대립이 격화되었다. 즉위 뒤에도 ‘경종 독살설’을 내세우며 그의 왕위 계승에 의혹을 제기하는 무리가 있었다. 이를 타개하고자 영조는 국왕이 중심이 된 황극탕평皇極蕩平을 추진하며 균역법 및 준천 등 백성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자 했다. 

도5-박문수분무공신전신상
도5-박문수분무공신전신상
도6-박문수분무공신반신상
도6-박문수분무공신반신상

 

영조와 정조가 탕평을 이루고자 글과 그림을 활용한 방법에 주목하는 이 전시는 4부로 구성했다. 제1부 ‘탕평의 길로 나아가다’에 글과 그림으로 탕평의 의미와 의지를 전하는 서적과 그림을 전시한다. 특히 영조가 자신의 국정 운영 방침을 널리 알리고자 서적을 간행한 일은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소통 방식이다. 더 나아가 영조는 한글로 풀어쓴 언해본을 제작해 일반 백성에게까지 임금의 뜻이 전해지도록 노력했다.

도9-주부자시의도
도9-주부자시의도
도11-기사경회첩
도11-기사경회첩

 

  제2부 ‘인재를 고루 등용해 탕평을 이루다’는 영·정조가 글과 그림으로 지지 세력을 확대하는 내용이다. 임금의 마음을 신하에게 친밀하게 전하는 시를 쓴 어필, 은밀하면서 명료하게 업무를 지시한 비밀 편지를 전시한다. 또한 신하의 스승인 군사君師를 자임할 정도로 학문 수준이 높았던 정조가 주자를 존숭한 일면을 김홍도金弘道(1745-1806 이후)가 그린 <주부자 시의도>로 보여준다.(도5~9) 

도13-장조 추상존호 금인
도13-장조 추상존호 금인
도14-화성원행도
도14-화성원행도

 

  
  제3부 ‘왕도를 바로 세워 탕평을 이루다’에서는 영·정조가 ‘효’와 ‘예’를 내세워 정당한 왕위 계승자임을 강조하는 상황을 다룬다. 영조는 원로대신 모임인 기로소耆老所 입사 기념 그림에서 자신과 사도세자의 자리를 나란히 배치해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정조는 좋은 글귀의 시호諡號와 존호尊號로 사도세자의 덕을 칭송했다. 그는 사도세자의 복권을 위해 20년 간 노력해 반대세력을 설득하며 왕에 버금가는 존호를 올릴 수 있었다.(도10~14) 

탕탕평평 포스터_삽살개
탕탕평평 포스터_삽살개

 

  제4부 ‘질서와 화합의 탕평’은 정통성 문제로 분열되었던 정치권 통합을 이룬 정조가 1795년 화성에서 개최한 기념비적 행사를 글과 그림으로 보여주는 공간이다. <화성원행도> 8폭 병풍에는 왕을 중심으로 신하들이 질서를 이루고 백성은 편안한 이상적 모습이 구현되어 있다.(도15) 영상으로 상세히 소개해 정조의 제작 의도를 전한다.   

  먼저 <삽살개>는 책으로만 소개된 작품으로 일반 공개는 이번이 처음이다. 영조가 아끼는 화원 화가 김두량金斗樑(1696-1763)이 삽살개를 그리고 영조가 탕평을 따르지 않는 신하를 낮에 길가를 돌아다니는 삽살개에 비유하는 글을 더해 탕평을 따르라는 뜻을 전하고 있다.(도4) 다음은 영조의 탕평책을 뒷받침해준 박문수朴文秀(1691-1756)의 38세와 60세 초상화를 나란히 배치해 세월의 변화에 따른 얼굴 표현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