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코엑스 A홀에서 12월 22일~12월 26일까지 진행되고 있는 2023년 서울아트 쇼에 참가한 정연우 작가의 '근원의 진동 시리즈' 현장에 아트코리아방송에서는 본 기자와 석유진 아나운서가 작가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석유진 아나운서가 정유진 작가에게 질문했다. 이렇게 근원의 진동시리즈에 접하게 된 동기를 묻자 정 작가는 "저는 한국화 작가이면서 명상가에요. 명상을 하다가 제가 누구이고 왜 태어났는지를 궁금해 하며 그림을 그렸는데 그때는 온통 검정색으로 수묵화를 그렸는데 그때는 내 안에 어떤 고통, 힘듦, 이런 것들을 검은색으로 표현했었는데 명상을 하면서 세상 이곳, 저곳을 찾아 다니다가 내 안에 어둠을 넘어 밝은 빛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빛을 찾으면서 그림들이 밝지게 되었다."고 말했다.
정 작가는 씨앗의 꿈 생명의 춤 (모로갤러리 서울), 남양주아트센터 초대쇼 (남양주아트센터 금곡), 23년 정연우갤러리 개관기념 100일꽃 (정연우갤러리 용인), 빛의 진동 (마음꽃갤러리 용인) 등 다수의 외 단체전에 참여 해왔다. 저서로는 ‘인생이 마법처럼 플리는 만다라명상’ (자기계발분야 베스트), ‘인생이 마법처럼 풀리는 만다라명상 컬러링’ (컬러링북 7위) 등의 연작을 발표하고 있다.
원의 형태에 들어있는 보석 비즈의 장식은 어떤 의미를 두었느냐는 석유진 아나운서의 질문에 정 작가는 “제가 에너지 그림을 10년이 넘게 그려왔는데 처음에는 에너지의 포인트에다 펄이나 반짝이를 그렸는데, 후에 대신에 크리스탈을 공부하다 보니 보석들이 지구에서 가장 에너지가 좋은 핵심들로서 보석은 빛을 머금고 있어서 제가 의도하는 빛의 에너지들을 확장시키고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기에 빛이 빛을 넘어가고, 빛을 머금고, 다시 빛을 받아서 빛을 머금고 확장되는 반복을 하면서 이 빛은 2차원 적이지만 3차원을 넘어선 어떤 근원적인 형태를 넘어선 그림들”이라고 밝혔다.
정연우 작가는 성균관대학교 총장상, 목우회공모전 입선 (예술의 전당 서울), 안견미술대전 특선 (서산문화원 서산), 구상전 공모전 장려상 (성남아트센터 성남),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 수상, 뉴스메이커 선정한국을 이끈 혁신리더 대상, 이노베이션&브랜드 대상 (문화예술부분), 성균관대 미술교육과(동양화전공) 수석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석사 졸업,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동양화 박사과정 마쳤으며, 마음꽃세상&마음꽃아카데미 대표원장, 한국미술협회, 강남미술협회 회원, 1999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시교육청 공립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2012년부터 만다라명상, 만다라아트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만다라명상 강의 (교원직무연수, 기업, 관공서 등), 만다라명상상담카드 출시, 만다라아트스쿨 운영 등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