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케이아트에서 2023년 8월 10일~21일까지 진행하는 룩셈부르크 정원의 여름 전시회 '다비우 파빌리온'이 열리고 있다.

이번 참가 작가로는 정진아 작가와  박발룬 작가가 참여했으며 도시 공간에 대형 조각을 설치하는  조형  조각가 2인전이다.

정진아 작품
정진아 작품

 

정 진아는 개념미술가이자 조각가이며 그의 세대 최고의 예술가 중 한 명입니다. 한국에서 자수는 오랫동안 여자들의 일이었다. 14~20세기 유교에 물든 조선시대에 자수는 공적 영역에서 배제된 여성들에게 유일한 자유의 공간이었다. 한국 여성들은 자수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주장해 오기도 했다. 여기서 정진아 작가의 십자수는 변화하는 삶의 시선을 포착하고 있다.따뜻한 질감, 구성 요소와의 전체적 유기적 관계, 반복적인 손작업이 주는 편안함이 자수 작업의 매력이다.

박빌룬 작품
박빌룬 작품

 

박발룬의 작업에서 드러나는 형태는 풍선을 부풀린 동물, 오브제 등이다. 이러한 모양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친숙한 모양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실제와 유사하지만 풍선의 재질로 인해 존재하지 않는 다른 실체가 되는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형상에 대한 인식은 우리의 경험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가의 작품에서 재료와 무게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전시를 주관한 안은희는 1984년 에꼴 뒤 루브르 (Ecole du Louvre) 졸업 후 파리에서 2007년부터 Galerie 89를 경영하며 한국작가들을 전시하고 있으며  현재 모나코 외부전을 통해 더 넓은 국제적인 경력을 쌓는데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번에는 프랑스 상원의 초대로 한국의 조형작가 정지나-박발룬을 선정하여 파리의 상징적인 룩상부르크 공원안 전시장에서 그들의 최근작과 대표작들을 소개한다.
 
전시회의 큐레이터인 Gilles Bastianelli는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이자 전기 및 예술가들의 카탈로그 저자이다. 그는 프랑스 무채색의 선구자인 Claude Bellegarde, 프랙탈 (Fractal)예술가 Jean-Claude Meynard,  Galerie Claude Bernard  작가인 러시아 예술가 Edik Steinberg와 함께 여러 전시회를 기획했습니다. « 1950-2000년  러시아 현대 미술 »  POMPIDOU Center전시와  Pouchkine 박물관에서 발행한 카탈로그 레조네에 참여했다.
5년전 부터 그는 한국 예술가들 전시에 협력하고 있다.

케이 아트, 룩셈부르크 정원의 여름 전시회 '다비우 파빌리온'
케이 아트, 룩셈부르크 정원의 여름 전시회 '다비우 파빌리온'

 

K - ART

Jina CHUNG

Elle est une artiste conceptuelle et sculptrice de renommée nationale. C’est l’un des meilleurs artistes de sa génération.

En Corée, la broderie est l’affaire des femmes depuis plus de deux mille ans. Du XIVe au XXe siècle, à l’époque Choson baignée de confucianisme, la broderie est le seul espace de liberté des femmes exclues de la sphère publique. En brodant, les Coréennes s’expriment et s’affirment en tant qu’artistes.

Les points de croix de Jina Shung captent le regard sur la vie qui change. Le charme de la broderie réside dans la texture chaleureuse, la relation organique entre le composant et l’ensemble, le confort apporté par le travail manuel répétitif.

Park BALLOON

Les formes révélées dans les oeuvres de Park Balloon sont des objets, des animaux faits de ballons gonflés. Ces formes reproduisent les apparences familières communément observées autour de nous. Cependant, ces formes sont inexistantes à cause du matériau des ballons, bien qu’elles soient similaires à la réalité. Comme on le sait, le matériau et le poids jouent des rôles très importants car notre reconnaissance de forme est liée à notre système expérientiel.

Euni Ahn, organisatrice de cette exposition, diplômée de l'École du Louvre en 1984 et qui dirige depuis 2007 la Galerie 89 à Paris, expose des artistes coréens et élargit leur carrière internationale à travers des expositions hors mur à Monaco. Cette fois, à Paris, à l'invitation du Sénat, deux artistes coréens sont sélectionnés dans le cadre de « L’Été du Jardin du Luxembourg » Pavillon Davioud du 10 au 21 août 2023.

Le commissaire de l'exposition, Gilles Bastianelli, est réalisateur de films documentaires et auteurs de biographies et de catalogues d’artistes. Il a coordonné plusieurs expositions avec Claude Bellegarde pionnier de l’achromatisme français, l'artiste fractal Jean-Claude Meynard, et l'artiste russe Edik Steinberg de la galerie Claude Bernard, à qui il a consacré un film de référence projeté dans les grands musées européens, dont le Centre Pompidou pour l’exposition « Kollektsia art contemporain en URSS et en Russie 1950-2000 » et a participé à son catalogue raisonné édité par le Musée Pouchkine. Depuis 5 ans il travaille pour des artistes coréens.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