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남산갤러리에서는 2023년 5월 16일(화)~22일(월)까지 ‘K.SAAF’ 아트기획으로 뮤즈 킴(김미영) 초대 개인전, ‘굿 모닝! 땡큐!’ 展이 개최된다.

Muse Kim(김미영). 굿모닝! 땡큐!. 116.8x91cm. Acrylic on canvas. collage. 2023.
Muse Kim(김미영). 굿모닝! 땡큐!. 116.8x91cm. Acrylic on canvas. collage. 2023.

수도 서울의 명소이며 안중근 의사의 정신이 담긴 남산을 작가는 무척 사랑해서 5월의 남산은 뮤즈 킴(김미영) 화가의 예술세계를 더하여 그 향기가 더할 듯하다.

Muse Kim(김미영). Unique Muse Kim. . 45.5x53cm. Acrylic on paper. 2023.
Muse Kim(김미영). Unique Muse Kim. . 45.5x53cm. Acrylic on paper. 2023.

이번 전시 ‘굿 모닝! 땡큐!’ 展은 작가가 코로나 19 기간 동안 사람들이 겪는 고통과 시련에 대해 생각하였고, 방 안에 갇혀 작업에 몰두하며 사유하게 돤 ‘나와의 채팅’ 시리즈이다. 작가만의 독특한 사유와 표현 방법이 아주 흥미로운 이번 전시는 작가의 평면작품 30여 점을 전시 예정이다.

Muse Kim(김미영). Venus. 65.1x53cm. Acrylic on canvas. collage. 2021
Muse Kim(김미영). Venus. 65.1x53cm. Acrylic on canvas. collage. 2021

김미영 작가는 사전 인터뷰에서 “아침에 눈을 뜨면 살아있음에, 부여받은 새날에 감사기도를 드리는데요. 생명의 절박함을 느껴 본 사람만이 느끼는 진심의 감사에요. 오늘도 ‘굿 모닝! 땡큡’입니다. 내일 지구가 망한다 해도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어요.”하며 웃었다.

Muse Kim(김미영). The Magic Castle1. 90.9x72,7cm. Acrylic on canvas. 2021.
Muse Kim(김미영). The Magic Castle1. 90.9x72,7cm. Acrylic on canvas. 2021.

화가 뮤즈 킴(김미영)은 비전공 작가로 사)한국수채화협회 공모전 대상 수상을 시작으로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그 당시 비전공자는 공모전을 통해야만 화가 입문이 가능했다. 작가는 수채화 작품 활동을 이어가면서 비전공자로 외로운 길을 가야 했다. 이후 늦은 나이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에서 회화전공을 하였고 작가 자신의 예술세계를 찾아 많은 고민을 하였다. 결국 작가는 타인과 다른 자신만의 고유한 경험과 스토리, 사유의 세계가 작가의 작품을 유니크 하게 한다고 생각했으며, 최근 작업들은 평소에 떠오르는 생각에 자신의 철학을 담아 태어난 작품들이다.

Muse Kim(김미영). 모호한 갈망(Ambiguous yearning). Mixed media on wood pannel. 72.7x72.7cm. 2022.
Muse Kim(김미영). 모호한 갈망(Ambiguous yearning). Mixed media on wood pannel. 72.7x72.7cm. 2022.

작가는 작가노트에서 “때로 매혹적이며 때로 고루한 내 일상은 끊임없는 갈등과 방황을 왕래하게 합니다. 상상과 허구는 현실보다 훨씬 더 나다움에 가깝게 느껴져 그곳이 내가 사는 세상인가? 생각하게 되고 그만큼 목에 걸린 현실의 이질감이 유토피아를 찾아 나서게 하나 보다.”고 적었다.

Muse Kim(김미영). 미학적 해탈. Acrylic on canvas. 53.0x45.5cm. 2022
Muse Kim(김미영). 미학적 해탈. Acrylic on canvas. 53.0x45.5cm. 2022

작가는 평면작업과 함께 설치와 조각 등 예술의 장르를 넓혀 나가려 노력하고 있으며, 작품 판매와 매니아 층의 응원으로 힘을 얻는다고 한다. 예술을 하는데 얼마나 많은 열정과 노력, 에너지와 재원, 인문학적 연구와 사람들의 응원이 필요한가! 한계를 넘어서려 많이 노력하는 작가이다.

Muse Kim(김미영). 오류의 시간. 49.9x65cm. Acrylic on canvas, collage. 2022.
Muse Kim(김미영). 오류의 시간. 49.9x65cm. Acrylic on canvas, collage. 2022.

또한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가 창립하고 14년 동안 이끌어 온 예술단체 ‘리쥼RESUME)회 특별기획전 ’ 라피크(Rafik)’展과 함께 열려 그 의미가 크다고 보겠다.

Muse Kim(김미영). 호접몽. 116.8x91cm. Mixed media on canvas. 2022.
Muse Kim(김미영). 호접몽. 116.8x91cm. Mixed media on canvas. 2022.

작가노트
작가는 코로나 19를 겪으며 인간의 고통에 대해 생각하였고, 어릴 적 트라우마(trauma)로 남아있는 뱀의 기억을 소환하여 의미를 부여했다. 예술적 영감으로 드러난 작가의 트라우마는 날 것 같은 거칠고 고통스러운 경험이지만 창작에 새로운 변화를 드러낸다. “나와의 채팅” 작업들에서는 뱀과 눈동자 등의 이미지들이 종종 렌더링 되면서 그로테스크(grotesque)하기도 하다. 이러한 작업들은 그동안 해왔던 거울 작업 “반영의 이면”과 연결된 작업으로, 형상 이면의 숨겨진 ‘본질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 인간의 유한성과 양면성, 존재와 실존에 대한 일관적 사유의 흐름이 있다. 또한 자기 성찰적이며 초인적 삶에 대한 고뇌와 사유가 담겨있다.

작가는 가장 싫어하는 동물인 뱀(snake)을 모티브(motive)로 설정하여 다의적 의미로 작품에 담았다. 그것은 견디기 어려운 시련이고 상상 속에 너무 커지는 생각, 숨겨진 두려움 및 현실과 타협할 수 없는 얽힌 욕망이며, 고난으로 인해 수집된 감정의 스크랩북(scrapbook)이기도 하다. 그리고 신화적 존재인 뱀의 능력과 지혜에 초극적 인간인 초인(Übermensch)을 지향하는 희망을 담아 현실적 고통과 다양한 감정들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또한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패턴(pattern)과 텍스처(texture)를 결합하여 조금은 엉뚱하고 장난스러운, 그리고 대담한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을 만든다. 작품에 꼴라쥬(Collage)한 텍스쳐(texture)는 작가 자신이 입었던 옷으로 자신을 기념하는 자전적 스토리가 담겨있다. 그것은 작가를 대표하는 하나의 표식이며, 삶에 대한 애착과 삶의 긍정에서 나오는 자기애이기도 하다.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했으며, 난해하지만 독특하고 에너지가 넘친다. 또한 창의적이며 생각을 집중하고 증류하는 방법에 대해 의문을 갖게 한다. 

이러한 작가의 작품은 시련과 맞닥뜨려 이겨내고자 하는 삶의 의지의 표현이며, 그 저변에는 생의 저항과 갈망, 뜨거운 에너지가 내재되어 있음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불확실한 미래와 고통의 현재를 끌어안고, 매일 매일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 역동적으로 춤추는 날들을 살아내고 싶은 작가의 철학이 담겨있다. 작가는 삶의 실존이 원하는 방식대로 돌아가지 않고, 삶의 현실이 기가 막힌 상황으로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 하여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독과 허무, 고통이 내재한 삶 까지도 기꺼이 사랑하며 춤을 추듯 살아내고 싶은 것이다. 그것은 작가 자신이 겪어가는 삶의 딜레마를 희망적으로 풀어가는 대화법이며, 또한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공존할 수밖에 없는 시련을 잘 이겨내기를 바라는 애정과 간절한 기도가 담겨있다. 

영원한 것은 없으니 그것이 때로 슬픔이기도 하지만 유한적인 것이 때로는 큰 위로가 된다. 이 모든 것 또한 지나가리라.
 (Muse Kim(김미영) 작업 노트 中 부분 발췌)

MUSE KIM(김미영). 호접몽1 116.8x91cm. Acrylic on canvas. collage. 2022.
MUSE KIM(김미영). 호접몽1 116.8x91cm. Acrylic on canvas. collage. 2022.

MUSE KIM(김미영) Profile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전공 석사 졸업(M.F.A)

개인전 14회
초대 및 단체전 120여 회

수상경력 
사)한국수채화협회 공모대전 대상
대한민국 신미술대전 최우수상
제1회 관념미학어워드 수상
서초구청장(진익철) 표창
목우공모미술대전 4회 입상 
미술문화오마주상-언론부문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특별상
아트목포2022선정 작가상
한국미술진흥원 특별기획전 특별상 
그 외 다수

그외 경력
예술그룹<리쥼회>창립(2010년~현재)
한국수채화페스티벌 운영위원, 한국수채화아카데미 운영위원,
수채화트리엔날레 교육분과위원. 코파글로벌미술대전 운영위원. 
대한민국신미술대전 심사위원, 행주미술대전 심사위원. 
사)한국수채화협회공모전 심사위원. 
제1회AoA 어워드 ASIA 심사위원
㈜아트코리아방송 문화국장. 
문화예술교육사. 평생교육사. 수채화 강사. 
단독 큐레이터. 전시기획 20여회. Journalist. 
사)안견기념사업회 자문위원
사)녹색중앙회 기획실장
국제문화CT대학교평생교육원 교수. 
그 외 다수 

작품소장처
서울대법원. 법무법인(유)광장. 당구협회. (주)은진기계. 생명의 교회. 
그 외 개인소장 다수

<현재> 
사)한국수채화협회. 대한민국신미술대전초대작가. G.ART. 
리쥼(RESUME)회 대표. K.SAAF아트기획대표.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