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강이수 작가의 조각전, 다양한 재료로 인간 군상들을 새로 구현한 작품인 '새들의 세계Ⅱ'가 2023년 5월 3일(수) ~ 5월 8일(월)까지 서울 인사동 소재의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 1층 그랜드관에서 열리고 있는 현장을 5월 5일 어린이 날에 전시장을 찾아 스케치 하였다.
작가는 작업장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많은 새와 접촉할 수 있었다. 특히 조류독감의 영향으로 생명을 잃은 수많은 새들에 대한 관심으로 새를 탐구하며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작품으로 투영해낸 주요한 원인 중 하나였다.
작가는 전통적인 재료인 돌과 브론즈, 철과 스텐레스, 알루미늄 같은 무거운 재료를 사용하여 고강도의 힘과 기술, 그리고 인내로 무거운 재료를 기술적으로 가공하기 힘든 과정을 거쳐 인내를 가지고 밝고 화사한 색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기호에 맞추어 완성해 내었다.
신제 조각전시회에서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작가를 찾아보기 쉽지 않으며 이런 재료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그의 작품은 동물이 아니라 날짐승, 새를 소재로 하고, 동물 조각의 경우에 대개는 말이나 소, 호랑이, 곰, 사자 등 대다수를 차지한다.
새는 민화와 설화, 신화 등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로 인류 역사 이래 새는 인간과 친숙하며 밀접한 관계를 맺는 동물이다. 그래서 작가는 새를 통해 인간 세상을 은유적으로 비유하며 익살스럽게 표현했다.
또한 한 작품에 석재, 철재, 스테인리스 스틸 등 다양한 재료를 결합해 독특한 품격을 자아내는 작품을 제작해왔다. 현대를 상징하는 오브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며, 원시를 상징하는 오브제는 석재로 두어 이를 통해 원시와 현재를 연결하고 조화롭게 만든다.
반구대 암각화의 질감으로 작품을 구현해 원시적인 분위기를 풍기는데 이러한 자연과 인공의 조화가 복잡한 문명에 지친 현대인들이 자연과 동화되어 인간의 근본인 원시의 순수함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강이수 작가는 원시적인 기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현대인이 문명화되고 제도화되면서 잃어버린 것들을 새를 통해 원형의 회복의미가 강하다. 물론 사물을 그대로를 재현하기보다는 일정한 양식화와 추상화의 과정을 거쳐 대상의 구조적이고 형태적인 특징을 함축적으로 표현하였다고 할 수 있다.
강이수 작가는 11회 개인전과 250여 회의 기획, 단체전에 참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