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추상표현주의의 대가, 곽 훈의 ‘Homage to Homo sapiens’전이 3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 가로수길에 위치한 예화랑에서 열리고 있다.

곽훈 작가는 1995년 베니스 비엔날레에 처음으로 한국관이 개관할 때 전시 작가로 ‘마르코 폴로가 가져오지 못한 것’을 테마로 ‘겁/소리’를 선보이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후 동양철학의 정수를 한국적인 모티브인 도기, 흙, 나무 등을 사용해 <기(氣)> <겁(劫)> <다완(Tea Bowl)> <할라잇(Halaayt)> 시리즈로 변주해왔으며, 한국적인 조형언어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하는 추상표현의 대가라는 평을 받았다. 그중 최근 몇 년간 몰두해오고 있는 <할라잇(Halaayt)>은 이번 전시 주제에 맞추어 더욱 밀도감 있고 새롭게 진화하여 선보인다.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할라잇(Halaayt)은 고대 이누이트족의 ’고래사냥‘의식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으로, 인간이 바다 한가운데 거대한 고래에 맞서 싸우는 모습을 그렸다. 고래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그가 가진 압도적인 힘의 정수를 흰 공간에 은은한 골드빛 컬러로 간결하게 표현한 필치에서 거장의 연륜이 느껴진다.
작가는 “현재의 인류가 마지막 호모 사피엔스가 될 것, 새로운 미래에 걸맞는 신인류를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한다. 내 작품 또한 시대에 맞춰 끝없이 변화할 것” 이라며 끊임없이 새로운 주제를 탐구하는 대가로서의 열정을 보였다.
고래를 신성시하였으며 ‘고래사냥’으로 신에 맞서 생을 구하려 했던 고대 이누이트족과 현재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인류는 모두 동일한 ‘호모 사피엔스’이다.
다가올 새로운 미래를 맞이하는 작가의 시대정신을 예화랑에서 엿볼 수 있다.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찻잔과 고래, 무용(無用)과 비지(非知)의 세계
황인(미술평론가)

실제의 찻잔 100개로 이루어진 설치작업이 전시되었다. 이번 전시회에는 찻잔의 드로잉 연작과 고대인의 고래사냥을 그린 할라잇(Halaayt)이란 제목의 페인팅이 전시된다. 할라잇은 이누이트 말로 ‘신의 강령’을 뜻한다. 
작은 찻잔과 큰 고래, 이 둘이 각각 놓인 도메인의 상황은 서로 극단적으로 달라 보인다. 곽훈은 한국과 미국을 오갈 때 동경에서 환승을 하곤 했다. 한번은 우에노공원에 있는 동경국립박물관을 들렸는데, 이때 전시 중이던 조선의 찻잔을 보고는 큰 감동을 받았다. 그리고 그림의 주제가 되었다.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곽훈은 30년 전 알라스카를 여행하며 해변에서 다량의 고래뼈를 보았다. 그리고 나중에 울산의 반구대 암각화를 보았다. 울산, 오오츠크해, 베링해, 알라스카를 연결해보았다. 곽훈의 고래 그림의 현장은 7천년 전 신석기의 어로문화가 있었던 울산이다.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는 여러 종류의 고래 그림과 함께 작살과 5인용 배가 그려져 있다. 이 배에 탄 사람이 몸을 던져 고래의 등에 작살을 꽂았을 것이다. 날카로운 작살은 사슴뼈를 갈아서 만든 것으로 발굴을 통해 확인되었다. 20명 정도의 사람이 탄 배는 고래를 끌고 가고 있다. 이들이 고래를 찾아 향하는 바다는 험하고 망망하다.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주체와 마주 보고 선 객체가 대상(Gegenstand)이다. 대상성이 성립하기 위해선 주체와 객체를 하나의 직선으로 이어주는 적당한 거리, 주체의 지각이 감당할 수 있는 객체의 적당한 크기 등이 담보되어야 한다. 여기에 감성, 오성, 구상력 등 여러 능력이 질서정연하게 동원되고 유기적인 합일을 이루어야만 대상성이 제대로 성립된다. 고래는 너무나 큰 생물체다. 그 크기는 지각의 포착을 불허한다.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고래를 잡는 행위는 실용에서 출발하였으나 고래를 잡은 그 순간에서 실용을 향한 개체의 이성은 정지하고 의식은 언어도단의 초월적이고 우주적인 세계로 빠져버린다. 고래잡이에 나가지 못한 공동체의 사내는 암각화를 그리며 고래에 대한 경외심을 공유한다. 반구대에 돌을 쪼으며 암각화를 그려나갔던 고대의 어느 예술가는 아무런 대가를 바라지 않고 고래를 그렸다. 선험적으로 주어진 우주적 생명의 감각이 개체적 생명의 존재에게 조형적 표현을 부추기고 있었던 것이다.
화가란 직업은 허업(虛業)이고 그림은 무용(無用)이다. 고대의 고래잡이, 공동체의 암각화 화가와 오늘날의 화가 곽훈은 동일한 유전자를 끈질기게 공유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허업과 무용의 보람은 시공을 뛰어넘어 우주적인 생명 감각으로 서로 만나 확인할 일이다.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곽 훈 작품전 ‘Homage to Homo sapiens’

곽 훈 Kwak Hoon
1941   대구 출생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롱비치교대학원 순수미술학 석사주요수상
1995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개관전 대표작가
1984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ng Beach 수상
2021 이중섭미술상
Solo Exhibition (Selected)
2023   HOMEAGE to HOMO SAPIENS, 예화랑, 서울
2022   할라잇,유엠갤러리, 서울
2022   선화랑, 서울
2021   할라잇, 피앤씨갤러리 서울
2021   이중섭상 수상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2019 Halaayt:Passage of Transcendence, 펄램갤러리 홍콩 ,
2019   할라이트,피앤씨갤러리 서울, 대구 ,
2016   대지로부터, 피앤씨갤러리, 대구
2016   신라갤러리, 대구
2012   예화랑, 서울
2012   시,다,선-곽훈,대구미술관, 대구
2012   신라갤러리, 대구
2011   대구보건대학 미술관, 대구 
2009   CJ 갤러리, 샌디에고
2007  예화랑 서울
2007  갤러리신라, 대구
2006  표 갤러리, 서울
2006  대구보건대학교 미술관,대구
2005  중국 국립 미술관, 베이징
2004  표 갤러리, 서울
2003  Andrew Shire Gallery, LA
2002  MBC 갤러리, 대구
2000  조현 갤러리, 부산
2000  금호미술관, 서울
2000  롱바오자이 갤러리, 중국
1999  Carinthia Gallery, 카린시아, 오스트리아
1998  Charles Cowles Gallery, 뉴욕
1998  금호미술관, 서울
1996  표 갤러리, 서울
1996  조현 갤러리, 부산
1996  Birmingham Museum, 버밍햄1995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이탈리아
1995  Sigma Gallery, 뉴욕
1995  Palos Verdes Art Center, LA
1995  선화랑, 서울
1995  인공 갤러리, 서울
1994  아트선재센터, 경주
1994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4  Andrew Shire Gallery, LA
1993  아트선재센터, 경주
1993  Mc Quarie Gallery, 시드니
1993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2  Sala Pares Gallery, 바르셀로나
1992  부산화랑, 부산
1992  McQuarie Gallery, 시드니 
1991  선화랑, 서울
1991  Pacific Asian Museum, Pasadena
1989  Levinson Kane Gallery, 보스턴
1989  Karl Bornstein Gallery, 산타모니카
1988  Iannetti Lanzone Gallery, 샌프란시스코
1987  두손갤러리, 서울
1987  인공갤러리, 서울 ,
1986  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 LA
1986  이목화랑, 대구
1986  Harcourts Contemporary, San Francisco 
1985  Karl Bornstein Gallery, Santa Monica, California
1985  인공화랑, 대구
1984  Traction Gallery, LA
1984  Q Gallery, 도쿄
1983  동산방화랑, 서울
1983  New comers:Hoon Kwak, LA Municipal Museum, LA
1983  Art Space Gallery, LA
1982  동산방화랑, 서울
1982  Traction Gallery, LA
1982  Artcore Gallery, LA
1981   Artcore Gallery, LA
Group Exhibition (Selected) 
2020 메이드인대구 ll, 대구미술관 대구2017 5 Years, 피앤씨갤러리, 대구
2016 접점,이천문화예술회관, 이천
2016코리아나우, 서울역사미술관,브뤼셀, 부다페스트 한국문화원
2011  예화랑, 서울
2011  신라화랑, 대구
2011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0  예화랑, 서울
2010 신라화랑, 대구
2009  LA County Mueseum of Art, Los Angeles, California
2009  Philadelphia Museum of Art, Philadelphia, Pennsylvania
2004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0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0  한국문화원, 뉴욕
1998  Charles Cowles Gallery, New York
1997  Charles Cowles Gallery, New York
1996  서울문화예술회관, 서울
1996  Newport Harbor Art Museum, Los Angeles, California
1993  Pauline Hirsh Art Museum, Los Angeles, California
1992  Levinson Kane Gallery, Boston, Massachusetts
1992  Sandra Walter Gallery, Hong Kong
1992  Mac Quarie Gallery, Sydney, Australia
1992  선화랑, 서울
1991  Levinson Kane Gallery, Boston, Massachusetts
1991  The Annex Gallery, La Jlooa, California 
1991  Valerie Miller Gallery, Brunswick, Maine 
1989  The Thumb Gallery, London, England 
1989  Cerritos College Fine Art Gallery, Cerritos, California
1989  Vallerie Miller Gallery, Palm Desert, California 
1988  선화랑, 서울
1988  국제화랑, 서울
1988  Van Straaten Gallery, Chicago, Illinois
1988  Karl Bormstein Gallery, Santa Monica, California
1988  The Works Gallery, Long Beach, California 
1987  Osaka Contemporary Art Center, Osaka, Japan
1987  Taipei Fine Arts Museum, Taipei, Taiwan
1987  The Works Gallery, Long Beach, California
1986  Karl Bornstein Gallery, Santa Monica, California
1986  Loyola Law School, Los Angeles, California 1986  Harcourts Contemporary Gallery, San  Francisco, California
1985  L.A. Country Museum of Art, Los Angeles, California
1984  Korean Cultural Service, Los Angeles, California
1983  Korean Cultural Service, Los Angeles, California
1983  1:16 Gallery, Los Angeles, California
1982  Scope Gallery, Los Angeles, California
1982  Oklahoma Art Center, Oklahoma
1982  New Mexico Junior College, Hobbs, New Mexico
1982  Visual Art Gallery, Pensacola, Florida 
1981  L.A. County Museum of Art, Los Angeles, California
1981  Stedman Art Gallery, Camden, New Jersey
1981  Minot State University, Minot, North Dakota
1981  Weber State University, Ogden, Utah
1981  Japan Cultural Center United States, Los Angeles, California
1981  동산방화랑, 서울
1981  Phoenix Art Museum, Phoenix, Arizona
1980  Four Art Plaza, Palm Beach, Florida
1980  한국프레스센터, 서울
1980  Long Beach Gallery, Long Beach, California
Collection
Security Pacific National Bank, Los Angeles, California 
Amoco Production Co.(Standard Oil), Denver, Colorado 
Minot State College, Minot, North Dakota 
Pensacola State Junior College, Pensacola, Florida 
First LA Bank, Los Angeles, California
Columbia Pictures Co., Los Angeles, California 
Mordern Art Museum, Seoul, Korea
Santen Seyak Co., Tokyo, Japan 
Wilshire House, Los Angeles, California 
Bel Air Hotel, Los Angeles, California 
Manatt, Phelps, Rothenberg & Tunney, Los Angeles, California 
Sheraton Harbor Island West, San Diego, California 
American Food & Beverage Co., Los Angeles, California 
American Bar & Grill, Santa Monica, California 
Executive Life Insuarance Co., Los Angeles, California 
Walker Hill Art Center, Seoul, Korea 
Conrad Hilton Hotel, Tokyo, Japan Tokyo Hilton Hotel, Tokyo, Japan 
Compri Hotel, Aurora, Colorado 
Southbrook Entertainment, Beverly Hills, California 
Held Properties, Beverly Hills, California 
Trident Ltd., Los Angeles, California 
Larsen, Colby & Koralek Inc., Los Angeles, California 
Ana Hotel, Tokyo, Japan
Bryan, Cave, McFetters & McRoberts, Los Angeles, California 
Four Season Hotel, Newport Beach, California 
Jewish Federation Council, Los Angeles, California 
Bear Stear & Co., Los Angeles, California
Tyson’s Corner of Sheratn Hotel, Virginia 
Hyatt Melbourne, Australia
Spierer, Woodward, Denis & Furstaman, Los Angeles, California 
MBC Broadcasting Corp., Seoul, Korea 
Yukong Line Limited, Seoul, Korea 
Grand Hyatt Regency, Washington D.C.
Los Angeles International Airport Hilton, Los Angeles, California 
Omni Hotel, Jackson, Florida
Touche, Ross & Co., Los Angeles, California 
Jing An Hilton, Shanghai, China
Philippe Guimiot Art Gallery, Bruxelles, Belgium 
O’Conner-Cavanaugh Law, Phoenix, Arizona 
Hilton Hotel, Seoul, Korea
Beverly Hills Hotel, Beverly Hills, California 
Pacific Bell, San Francisco, California 
International Kunstverlag, Hamburg, Germany 
Directors Guild of America, Los Angeles, California 
Yesteryear Inc., Los Angeles, California
Corner Peripherrals, San Jose, California 
Raddison Hotel, Palm Springs, California 
Sheraton Torrey Pines, La Jolla, California 
Ocean Grand Hotel, La Jolla, California 
Taipei Hilton Hotel, Taipei, Taiwan
Nikko Hotel, Sydney, Australia
Kinsella, Boesch, Fujikawa & Towle, Los Angeles, California 
Jules & Co., Costa Mesa, California 
Taipei Hyatt, Taipei, Taiwan Singapore Hyatt, Singapore
Warner Chappell Music, Los Angeles, California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대구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리움 미술관 
워커힐 미술관 
일신그룹 
㈜문화방송 
㈜유공
성곡미술관 
금호미술관 
선재미술관 
대백문화재단 
씨에스윈드 코리아 
힐튼호텔 외 다수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