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불 이후 시도한 다양한 실험적 작품들
- 1960~70년대 추상화를 중심

2023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포스터

[아트코리아방송 = 지유영 기자] 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 이응노미술관은 2023년 첫 전시로 오는 1월 17일부터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뉴 스타일, 이응노'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이응노의 생애 중 작가를 둘러싼 환경과 작가 내면의 작품 철학, 제작 방식, 작품 경향 등 전체적으로 이응노가 큰 변화를 겪은 시기인 1960~70년대에 제작된 추상화를 중심으로 구성한 전시다. 

구성, 1972 32x24cm, 은박지에 채색, 새김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구성, 1972 32x24cm, 은박지에 채색, 새김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가는 곳마다‘새로운 것’을 주장하여 친구들 사이에서‘뉴 스타일’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던 이응노는 도불 이후 1962년 프랑스 폴 파케티 (Paul Facchetti)화랑 개인전에서부터 한국에서 해왔던 작품과는 전혀 다른 작품을 선보였다. 도불 당시, 파리화단의 대표적인 미술사조였던 앵포르멜(Informel) 작가군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던 추상화 표현방식을 적극 수용하며 자신만의 조형 세계를 형성하고 확장해 갔으며, 이를 시작으로 매번 획기적인 방식의 작업과 새로운 경향의 작품을 창작해냈다.  

구성, 1971 111x118cm, 비닐에 아크릴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구성, 1971 111x118cm, 비닐에 아크릴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이번 '뉴 스타일, 이응노' 전시는 총 4개의 테마로 전시장을 구성된다. 1전시실에서는 이응노의 아카이브 자료와 1960~70년대 큰 전환점을 맞이한 고암의 새로운 작품 경향을 살펴보고, 2전시실에서는 도불 직전 60년대 초기 추상 작품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도 늘 새로움을 추구한 이응노의 뉴 스타일을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3, 4전시실에서는 도불이 후 조각 작품과 어려운 환경을 자신의 방식으로 극복한 창작자의 처절한 결과물인 옥중화를 전시한다. 

구성, 1962, 64x75cm, 캔버스 위에 종이 콜라주, 채색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구성, 1962, 64x75cm, 캔버스 위에 종이 콜라주, 채색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류 관장은 “2023년을 여는 이번 소장품전을 통해 동양적 정체성이 담긴 자신만의 조형 언어를 창조하기까지 이응노화백의 여정에 많은 관람객이 경험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LMSC-0104 구성, 연도미상, 52x40x22.3cm, 철판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LMSC-0104 구성, 연도미상, 52x40x22.3cm, 철판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뉴 스타일, 이응노' 전은 오는 1월 17일 15:00 개막식을 같고 4월 2일까지 전 전시실에서 관람하실 수 있다.

구성, 1968, 109x67.5cm, 한지에 수묵담채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구성, 1968, 109x67.5cm, 한지에 수묵담채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자화상, 1968, 37x41cm, 한지에 수묵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자화상, 1968, 37x41cm, 한지에 수묵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마스크, 1965, 265x130x12cm, 나무에 종이죽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마스크, 1965, 265x130x12cm, 나무에 종이죽 / 이응노미술관 소장품전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