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NGYEONG TRIENNALE 2022
[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평창동 아트코리아방송 미디어센터에서는 2022년 5월 3일 오전, 통영트리엔날레 단장이며 기획감독인 김지인 단장이 인터뷰를 잠시 들렸다.
김지인 단장은 이번 통영국제트리엔날레에 대해 "통영국제트리엔날레는 제1회 통영국제트리엔날레로써 통영 섬, 바람을 주제로 해서 3월 18일부터 5월 8일까지 52일간 진행되는 문화예술국제행사입니다.
시각미술, 음악, 미디어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는 융복합 장르를 가지고 문화예술국제행사를 진행하고 있는 행사입니다. 보편적으로 비엔날레라는 단어가 좀 익숙할 겁니다. 2년마다 하는 행사가 비엔날레인데요. 트리엔날레는 3년마다 라는 의미를 갖고 있고요. 통영에서는 현재 3년마다 개최되는 트리엔날레가 제 1회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통영에서 이런 국제 행사를 했을 때 어려움은 없었나요? 라는 질문에 김 단장은 "사실 어려움이 참 많았습니다. 여러 어려움들이 있었는데 특히 통영이라고 하는 도시는 12만 5.000명이 거주하고 있는 작은 소 도시입니다. 그런 소도시에서 문화예술국제행사를 진행한다는 것 자체가 사실은 새로운 도전이고요. 특히 그 새로운 도전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 중에 하나가 결국은 장소성이고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제약이었습니다. 보편적으로 다른 비엔날레가 이루어지는 공간들은 지자체에서는 비엔날레관이라고 하는 주제관을 중심으로 해서 행사가 진행이 되는데 통영에는 통영자체에서 가지고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라고 하는 시설, 그리고 시립미술관이 없는 상황입니다.
그러다 보니 복합문화공간을 갖고 있지 않는 어떤 물리적 환경의 제약 때문에 사실은 공간적인 제약이 또 다르고 장소적인 부분이 다르다 보니까 이제 컨셉을 도시 자체를 하나의 미술관이라는 컨셉으로 가져갈 수밖에 없었고요.
그러다 보니 이제 도시재생사업이라든가 이런 공간을 재생하는 형태의 트레인날레로
방향을 잡아서 진행해 왔다."고 답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은 자신의 내면세계를 들여다보는 계기가 되고 잠시나마 삶의 본질적인 의식 상태로 돌아가기 위하여 사색하고, 회상하며, 삶의 본질과 마주할 수 있다.
수공예 작품에서부터 19세기 작품, 뉴로 디자인, 인공지능, 가상 현실까지 우리 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들은 과거, 현재, 미래의 얽히고 설킨 3부작 안에서 현재의 영속성과 비영속성을 구성한다.
참여 아티스트
메모 악텐 | 에드워드 아떼노지 | 마르텐 바스 | 모리스 베나윤 | 바이오퀘스트 스튜디오 | 맥스 쿠퍼 | 뱅상 드보아 | 이지송 | 펠리시 데스티엔 도르브
쥬스틴 에마르 | 이얄 게버 | 한지희 | 하오민 펑 | 토트 홀르벡 | 현각스님 | 실비아 인셀비니 | 장지우 / 오마 스페이스 | 제이스 스페이스 | 강요배
다니엘 카펠리앙 | 김종구 | 김계옥 | 김태균 | 임옥상 | 엘리자 맥닛 | 토비어스 문테 | 오승환 | 타쿠토 오타 | 콰욜라 | 에덩 로즈 | 베르너 사세
| 앙투안 슈미트 | 장 클라우드 바우테르스 | 피에르 장드로뷔츠 & 페르디낭 데르뵈 | 김치 앤 칩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