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양경렬 작가의 개인전 <박제된 시대>가 3월 11일부터 4월 14일까지 아트노이드178에서 개최된다. 생경한 이미지들이 마주보는 강렬한 상하 구도의 시공간을 그려온 양경렬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는 이미지의 파편들이 ‘퇴적된 지층’처럼 박제된 시공간의 이야기를 펼쳐 놓는다.
과거엔 흔히 집에 한두 개쯤 있었다는 동물박제는 이제 그 이름조차 낯설다. 작가는 먼지가 켜켜이 쌓여 집 한 켠에 치워져 있던 박제된 매를 마주한 날의 생경한 느낌을 기억한다. 방부처리까지 해서라도 ‘지금, 여기에’ 붙잡아 놓으려는 욕망조차 어느샌가 망각되고 마는 현실을 직시한 느낌이랄까. 그러나 그것은 시대의 한 단면이 아닌가. 작가 양경렬이 주목하는 이 시대의 모습은 박제된 그것과 아주 닮아 있었다.
작가 양경렬의 <박제된 시대>는 90조각의 이미지를 모아 박제하듯 기록한 결과물이자 동시에, 수많은 파편적 이미지들이 난무하는 이 시대의 모습들이다. 그것은 우리 시대의 역사적 서사이다. 작품 속 무아지경으로 핸드폰 화면을 들여다보는 아이들은 기억 속의 나와 친구들일지 모른다. 어쩌면 그날은 누군가의 운명적인 순간이었을 것이다. 혹은 어떤 이의 정치적 선택의 결과가 나온 날일 수도 있다. 다시 바라본 화면엔 나의 소중한 아이들이 있다. 아련한 이 순간은 언젠가 다시 마주하게 될, 그날의 이야기다. 거기에 모두 함께 있었다.
“아이러니한 시⦁공간은 작품 속에서 하나의 무대로 설정된다. 이 무대는 곧 회화적 가능성의 공간으로 변용(變容)되고, 이 공간 속에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은 서로 대립되는 이미지나 사색의 이미지로 채워진다. 그것들은 서로 반전된 장면으로 드러나거나, 사뭇 이질적이고 생소한 이야기들이 중층적으로 구축되거나, 혹은 갑작스러운 화면 전환으로 구성된다. 어떤 공간은 눈에 보이는 것과 달리, 다양한 사건을 퇴적된 지층처럼 품고 있다. 이러한 지층은 겉으로 보이는 모습 뒤의 감춰진, 잠재한 혹은 잠식된 것 같은 이면이다. 이 작품을 통하여 그 이면을 보기를 기대한다.” ■ 양경렬 – 작가 노트 중에서
작가 양경렬은 광장을 연극무대 삼아 거기에 모인 군중들의 사회적 욕망과 관념들을 그려낸다. 거기에는 어김없이 그리스 조각상들이 등장한다. 시공간은 점차 모호한 은유 속으로 빠져든다. 미학의 집 임지연 소장은 양경렬 작가의 심상 속에 박제된 이 모호한 느낌이 정확히 무엇인지 묻는 것 자체가 오류라고 말한다. “세상에 정확한 것은 없다. 느낌-운동의 모호함, 그 더듬거리며 침투하는 시각 운동을 즐길 수 있다면 잠재성의 언어를 터득한 것이다.” 작가가 중층으로 겹겹이 구축한 이미지들의 이면에 내재된 잠재성의 차원은 그렇게 열린다.
전시 <박제된 시대> 곳곳에 등장하는 ‘벌거벗은 임금님’을 발견하는 것은 또 다른 감상의 묘미가 될 것이다. 작가는 박제된 그림 속에 생기를 일깨운다. 여전히 욕망하고, 싸우고, 화해하고, 용서하는 약동하는 에너지들을 우의(愚意)적인 방식으로 표현한다. 누군가 기억해 준다면 고마울 이 시대의 소리없는 외침에 기꺼이 자리를 내어주려 하는 작가의 진지하면서도 위트넘치는 위로를 느껴보길 바란다.
3월 11일 공식 오프닝 행사 없이 전시가 시작되며, 전시 기간 중 12시부터 18시까지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월 휴관). 아트노이드178(성북구 삼선교로6길 8-5(B1))은 ‘경계-감각-언어’의 관계를 탐구하는 문화예술공간이다.
양경렬 Kyung-Ryul Yang / 梁 庚 烈
개인전
2021 시대경계 / 아터테인 / 서울
2020 두 개의 풍경 / 양평 아트 컨테이너 (양평군립미술관) / 양평
2020 정의되지 않은 일상 / 아터테인 / 서울
2018 아니, 그것은 끝나지 않았다. / 영은미술관 / 광주, 경기
2018 플롯처럼 서사처럼 / 신세계 갤러리 / 광주, 전남
2017 문득, 나에게 나의 안부를 묻는다. / 아터테인 / 서울
2017 연극적 삶 / 광록화랑 / 서울
2016 조각풍경 / J갤러리 / 서울
2015 조각풍경 / Unit one Gallery / 베이징, 중국
2015 서울시 용산구 우사단로10길 88 / kiss 갤러리 / 서울
2014 선택 또는 새로운 균형 / 해안통 갤러리 / 여수
2014 piece : on the road / 아뜰리에 터닝 / 서울
2013 Free will / 모아갤러리 / 파주
2013 반사적 선택 / 아트 스페이스 휴 / 파주
2006 Alpha Eins gallery in Hamburg Germany "sehen" / 함부르크, 독일
단체전
2021 Manifold:Manual /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을
a markⅡ낯선신호, 기울어진 대상/ 동대문구 삼육빌딩 /서울
어떤사람 / Studio126 / 제주
별과 동강과 화가와 나 / 정선 507 미술관 / 강원도
산지열전 / 산지천 갤러리 / 제주
어떤사람 / 아트스페이스 휴 / 경기도
핑크몬스터 / 더 숲 갤러리 / 서울
April Affordable Art Festival / 조은숙 갤러리 / 서울
2020 영은지기, 기억을잇다 / 영은미술관 / 경기도
선택적 친화 / 노마드 갤러리 / 여수
황금 삼각지대 / 아터테인 / 서울
새일꾼 / 일민 미술관 / 서울
세상의 모든 드로잉 / 아터테인 / 서울
2019 Charity Bazaar / 스페이스 K / 과천
가장 아름다운 소비 / 아트리움 / 인천
삼척,세 개의 다른 시선 / 정라항 그리고 작은미술관 / 삼척
신화찾기 토큐멘트 / 양평군립미술관 / 양평, 한국
봄날 / G&J 갤러리 / 서울
공감 / 엑스포 갤러리 / 여수
2018 Screen project / Saatchi Gallery / 런던, 영국
예술을 품다 / 끼 갤러리 / 안동
Wave (아트 프로잭트 울산) / 대안공간 42 / 울산
2017 선택적 친화 / 롯데 갤러리 / 서울
시대적 예술의 시선 / 갤러리 지오 / 인천
2nd 뉴 드로잉프로젝트 / 양주 시립 장욱진 미술관 / 양주
2016 제18회 광주 신세계 미술제 / 신세계갤러리 / 광주
심상의 풍경 / 갤러리 경 / 대구
낯선이웃들 / 북서울미술관 / 서울
거기 낭만이 떠있다. / 아트팩토리 / 서울
바람불어 좋은날 / GMA 광주 시립미술관 / 서울
서울 모던 아트쇼 / 예술의 전당 / 서울
10 인전 / 갤러리 8 / 청주
2015 THE FIRST / 서울예술재단
기억의 속도 2014 / 아뜰리에 터닝 서울
Charity Bazaar / 스페이스 K 과천
2014 의정부 아트페스티벌 / 예술의 전당
Crossing the Border / MOA 갤러리 파주
REAL LANDSCAPE / 라마다 호텔 (2인전)
2013 Charity Bazaar / 스페이스 K 서울
드로잉 쓰고 또 쓰다 / 아트 스페이스 휴, 보림 갤러리 파주
Art road 77 / 한길갤러리 파주
being / 백자은갤러리 서울
2012 Charity Bazaar / 스페이스 K 서울
out of cocoon / 스페이스 K 과천
혐오와미망 / 나무갤러리 서울 (2인전)
C21 / 현대 미술 공간 서울
YM,WCA 회화의힘 / 이마주갤러리 서울
대안공간-창작스튜디오 AR FESTIVAL / 아시아출판문화센터 파주출판도시
2010 Junk Art 전 Seoul / 예송미술관 서울
여수 국제아트 페스티벌 / 연 갤러리 여수
2009 Tango du chat / 서울
2007 20th PentimentAusstellung in HAW Hamburg Germany / 함부르크, 독일
2005 18th PentimentAusstellung in HAW Hamburg Germany / 함부르크, 독일
2004 Funny Sight Exhibition Seoul 올 갤러리 (재미있는 시각전) 서울
Open 전 Seoul / 광화문 갤러리 서울
breath 전 Seoul / 인데코 갤러리 서울
레지던스 프로그램
2018 영은미술관 창작 스튜디오 / 한국
2015 B-space 레지던시 베이징 / 중국
2011-2014 휴 네트워크 창작스튜디오 / 한국
수상
2020년 아트 컨테이너 전시 선정 / 양평군립미술관
2016년 제 18회 광주신세계 미술제 / 우수상 / 광주 신세계
2016년 뉴 드로잉 프로젝트 / 입상 / 양주시립 장욱진 미술관
2015년 제1회 포트폴리오 박람회 / 우수상 수상 / 서울 예술 재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