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마하 선주선 교수의 십 년 계획인 각 서체 탐색전의 네 번째 이야기 ‘전초동행전’이 인사동에 위치한 백악미술관 2층 전시실에서 2021년 12월 2일~12월 8일까지 전시되고 있는 현장을 김미영 국장과 함께 인터뷰를 진행하기 위해 오후 1시에 전시장을 들렸다.
마하 선주선 교수의 십 년 계획인 각 서체 탐색전의 2018년에 치른 첫 번째 전시에서는 ‘행서시필전’으로 1년간 탐색한 행서 필의(筆意)를 선보였고, 두 번째 이야기 ‘해서완미전’은 2019년 백악미술관에서 열렸고 마하 선생의 '예서탐색전'은 2020년 11월 백악미술관 2층에서 개최되었다.
김미영 국장의 이번 ‘전초동행전’에 대해 설명을 해 달라는 질문에 마하 선주선 작가는 “전서 쓰기를 초서 쓰듯 하고, 초서 쓰기를 전서 쓰듯 하라는 말들이 있듯이 어렸을 적에 스승이신 월당 홍진표 선생님은 서예이론을 많이 강의를 하셨어요. 아주 큰 한 학자이셨는데 그분이 늘 그런 말씀을 하셔서 이번에 두 개를 합쳐서 해 보니까 연관성을 못 찾았고, 다만 전서가 둥글둥글하게 원필이고, 초서도 돌아가는 게 둥글둥글해서 그런 면에서 상통하는 글체라고 생각하게 되었고, 전서와 초서가 워낙 다르지만. 그래서 고전에 나와 있는 선생님 말씀을 생각해 보니까 전서는 너무 근엄하게만 쓸려고 하지 말고, 초서라고 해서 너무 빨리 쓰고, 날려 쓸려고 하지 말고, 전서 쓰듯이 겸손하고 엄정하게 쓰는 게 좋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서 그렇게 작업해 보았다.”고 답했다.
이어 “그래서 처음 ‘전초상응전’으로 하려다 ‘전초동행전’으로 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랫동안 순수한 전통서예를 고집하고 유지하고 계신 이유와 의미를 묻는 김 국장의 질문에 마하 선주선 작가는 “50년도 더 된 이야기이지만, 옛날에 우리는 선생님들이 무척 엄하셔서 기초 공부를 튼튼히 하라는 말씀에 정자를 10년 이상을 안 쓰면 다른 글자를 못 넘어가게 하다 보니까 배운 게 그래서 그것을 탈피해 나가기가 상당히 힘들고, 서예를 가만히 생각해 보면 역사적으로 그런 전통이 쭉 이어져 온 것이어서 저는 후배들이나 제자들이 아주 여러 방면으로 빠른 방법을 터득하고 치고 나가는 것을 보면 우리는 부러워도 배운 것이 그것이기 때문에 따라갈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지만 자부심을 갖는 것은 몇 천년 내려온 서예가 이런 전통을 안지키면 맥은 끊어진다는 차원에서 맥을 지키고 있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이어진 질문에서는 “오랫동안 철학과 한문학으로 경지에 오르셨는데?, 10년씩 네 번의 서체 탐색전으로 평생을 바치셨는데 한 말씀, 오랫동안 전통 서예를 지켜온 소감과 작품 설명”으로 인터뷰를 마쳤다.
마하 선주선 작가는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 대만중국문화대학 예술연구소 문학석사,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6년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서예학과 부교수, 2001년 동대학 순수미술대학 서예 전공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 활동에 기여했다.
미협 대한민국미술대전 대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북경대학 서법예술연구소 객좌교수, 한국서예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 및 문화재위원, 한국서예가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저서로는 서예, 서예개론, 서예통론, 반고백선 외 한시집 10권 등이 있다.
선주선 (宣柱善 마하(摩河))
출생 1953
분야 서예, 교육
직업
서예가
대학교수
학력사항
2001동국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
1983대만 중국문화대학 대학원 문학석사
1980동국대학교 문학학사
소속
한국미술협회 이사(현직)
대한민국전각학회 이사
대한민국서예대전 심사위원
대한민국전각학회
대한민국서예학회 회원
한국미술협회 회원
경력사항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서예과 전임강사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서예과 부교수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순수미술학부 서예전공 교수(현직)
전시이력
단체전
한&중서예전공교수작품전, 백악미술관
마하 선주선 서예전, 운현궁미술관
KASCON Ⅳ초청전, Harvard Memorial Hall
마하 선주선 서예전, 백악미술관
마하 선주선 서예전, 출판문화회관
수상내역
대한민국미술대전 대상
저서
1996『서예통론』,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5『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서예-중.고교 검인정 교과서 5.6차 과정』, 도서출판 태성
1989『서예』, 대원사
1988『서예-중&;고교 검인정 교과서 5.6차 과정』, 학연사
1986『서예개론』, 미술문화원
1983『한국미술사전』, 대한민국예술원
논문/기고
1998"안진경의 서법연원에 관한 연구", 한국서예학회지 창간호
1997"해서전형에 관한 고찰", 묵주
1994"팔분일사소고", 남정 최정균고희 기념논문집
1991"조지겸의 서법연구", 서학논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