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호크니의 공간과 풍경

김종근 (미술평론가)

데이비드 호크니만큼 풍경을 다양하게 미술 작품 속에 탁월하게 활용한 작가는 없다.
언제나 ‘공간과 풍경’이라는 주제 안에서, 장르별로는 회화, 콜라주 사진, 설치 등을 포함하고 있는 호크니는 한 작가가 어떻게 ‘풍경’을 인지하고 그것을 화면이라는 ‘공간’ 안에서 어떻게 드러낼 수 있는가에 대한 총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미술계에서 최고의 주목을 받았다.
영국 북부 요오크셔에서 태어난 그는 초기 만화영화와 원시미술, 추상표현주의 그리고 피카소의 영향을 받았다.

데이비드 호크니, 더 큰 그랜드 캐니언, 60개 캔버스에 유채, 207×744.2cm, 1998

일찍이 60년대에 미국 캘리포니아로 건너가 그곳 태양의 밝은 풍경을 평면적인 색채처리와 선묘의 효과를 중시하는 기법으로 그의 화풍을 확립시켰다.
1964년부터 호크니는 팝아트의 화풍을 따르면서도 빈번하게 그의 작업은 ‘수영장 그림 ’ 연작 풍경을 주요 모티브로 제작 해왔다.
1965년부터는 미국의 풍경을, 70년대까지 그는 아이로니컬한 대화의 논법을 보여주면서 팝아티스트로서 <수영장>그림과 <친구>나 <자화상> 등 가까운 인물의 개인적인 이야기들을 등장시켜 일찍이 명성을 얻었다.

데이비드 호크니, 클라크 부부와 퍼시, 캔버스에 아크릴릭, 213.4×304.8 cm, 1970∼1971

추상표현주의가 유행하는 당시의 화풍에 절대 흔들리지 않고 그는 초기부터 구상적인 이미지에 깊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호크니는 70년대 중반 윌리엄 호가스의 작품에 영향을 받은 후, 작품의 해석으로부터 공간을 암시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배웠다.
그의 작품제작 장르에 관심은 비교적 폭넓었다. 회화 판화 드로잉 등으로 33살에 런던에서 회고전을 갖기 시작한 1970년에는 사진을 이용한 콜라주에 손을 대기 시작했고, 이미 1966년부터 수차례에 걸쳐 근래까지 무대미술에도 놀랄만한 재능을 보였다.
물론 그는 사진에 관한 관심을 본격적으로 가지고 있어 회화가 가지지 못하는 시간의 연속적 흐름을 드러내는 작업을 회화 그림과 함께 보여준다.
특히 전시의 어두운 공간에 설치한 매우 독특하고 새로운 설치작업들은 그가 사진 암실 작업에서 기인한 듯한 신선한 실험적 흔적을 보여준다.

데이비드 호크니

대부분 그 작업들은 모습을 투명감 있게 제임스 로젠키스트나 로버트 라우센버그처럼 묘사한다.
어떤 경우는 지나치리만큼, 빈 무대를 공간처럼 비워두기도 하고, 다소 장난스러운 분위기로 정체된 인물들을 표현하여 그만의 독특한 인상과 매력을 보여주었다.
그에게 영광을 가져다준 30여 년의 수영장 그림을 포기하고, 그가 그랜드 캐니언을 위한 대형작품 습작을 보여주는 새로움은 그가 풍경에 관한 어떤 재해석과 번안을 가하는가로 눈길을 끈다.
1992년부터는 사진을 찍어 완전한 콜라주로 만들고 다시 그것을 기초로 ‘그랜드 캐니언’ 의 거대한 장관을 회화화 했다. 이것은 수영장시리즈에 대한 30년의 그의 작업에 포기라고 까지 불렸는데, 대부분이 그랜드 캐니언은 실제의 음울하고 어두운 모습보다는 경쾌하고 그 특유의 투명한 색채로 묘사되고 있다.
그리고 1980년 초부터는 습작에서는 3mx 7m가 넘는 96개의 작은 그림을 모아 만든 그랜드 캐니언 시리즈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화가의 초상화(두 인물이 있는 수영장)(Portrait of an Artist(Po ol with Two Figures))’. 1972년작.

1985년 그는 역원근법을 반 고흐와 폴 고갱의 의자를 그러나 그는 그리는 방법에서는 그 자신이 ‘ 내가 보는 방법’이라는 저서에서 ‘결국은 추상 이외에는 없다’ 진술했던 것처럼 1992년부터 그는 추상작품도 빈번하게 보여준다.
그의 이런 미술에 관한 시각의 변화는 이 작품 여러 곳에서도 명료하게 드러난다. 그는 일련의 추상과 구상이라는 두 방법 속을 넘나들며 인간의 시각적인 원근법 실험을 시도하고 있다.
만약 데이비드 호크니가 구상적인 세계를 통해 사진과 회화에 대한 차이와 재인식을 회화나 사진 또는 콜라주를 통해서 다양하게 드러낸 것이다.
호크니에게 풍경과 공간에 대한 해석은 한 예술가에게 특정 공간이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떻게 사로잡을 수 있는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