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제58회 김달진미술사이야기에서는 김세중미술상을 수상하고 김세중미술관 기획초대전이 열리고 있는 백현옥 조각가가 전시를 하고 있는 전시장을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과 2021년 11월 12일 찾았다.
대립의 공존과 정중동의 생성력을 추구한 조각가이면서 김세중미술상 수상자인 백현옥을 김세중미술관에서 초청하여 초대전이 열리고 있었다. 마침 김세중미술관 김원영 학예실장이 전시가 연장 되었다는 소식에 이날 전시장을 찾게 되었다.
서울의 수호신으로 불리는 광화문의 충무공 이순신 동상을 제작한 김세중 조각가에게는 자신의 기법을 아낌없이 전수한 제자 백현옥 조각가가 있다. 대군상에는 패기와 위엄을, 입상에는 따뜻한 정신성을 기록한 백 조각가는 조각인생 50년을 넘긴 올해, 마침내 조각인들의 영예인 제 35회 김세중조각상을 수상했다.
1960년대 추상적 모더니즘에서 1970년대 구상과 표현주의로 전향하여 빛과 어둠, 수직과 수평, 정중동의 밸런스를 인체와 도형, 고전예술품의 비례와 형상에 빗대 조화와 공존을 꾀한 백 조각가는, 그의 생애에 가장 의미 있는 이번 수상을 기념해 이번 전시가 진행되었다는 설명이 있었다.
지난 50여 년간 묵묵히 조각가의 길을 걸어온 백현옥 작가는 다양한 인간의 형상으로 자연을 표현해왔다. 나무와 금속, 돌의 결과 질감 등 매체의 물성을 활용하여 제작한 다양한 인체 조각들은 인간에 대한 깊고 애잔한 사랑으로 표현되어 우리를 미소짓게 한다.
전시장에서는 백현옥 작가의 인체 조형미에 대한 다양하고도 일관된 탐구을 통해 인체 조각의 아름다움을 선사하고 있었다.
바로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이 리포터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백현옥의 조각세계
윤덕한 미술평론(미학 미술사)
금년 8월이면 30여 년간 몸담고 후학들을 길러내던 강단을 떠나게 된다. 조각의 길에 발을 들여놓은 지가 벌써 반 백년에 접근 한다. 결코 짧은 기간은 아니다. 그 동안 꾸준한 노력과 인내의 결과로 얻어진 결실들을 한데 모아 작품집을 발간하게 된 것은 앞으로 자유인으로서의 작가의 길을 가게 될 백현옥의 예술세계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1. 추상에서 구상으로
백현옥의 작품 활동을 시작하게 되는 1960년대는 모던이즘 이란 용어가 미학적 규명이나 해석이 없이 경쟁적으로 사용되던 때였다. 따라서 대다수의 순수미술을 전공한 미술인들은 작가의 관문인 국전을 통해야만 그 자격이 인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청에 부응해서 추상작업에 열중했다. 재료는 석재나 브론즈 등의 전래의 소재를 피하고 현대문명의 소산인 합성수지, 스티로품, 아크릴판, 따위가 등장한다. 이러한 신소재에 의한 추상작품들은 국전에서 연입선 이라는 성과를 얻기도 했다. 그러나 작가의 말을 빌면 이것은 추상의 본질을 망각한 채 외국의 미술잡지에서 무분별하게 본딴 모던이즘의 아류에 불과하다고 보고 예술가적 양심으로는 용납할 수 없는 카피조각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작가는 추상적 표현방법은 자신의 예술의욕이나 미의식과는 상반되는 것을 깨닫고 자신의 미적 이념이나 주제의식을 전달하는 데는 구상적 표현 형식이 유리하다는 판단을 내리고 추상에서 구상으로의 방향전환을 과감하게 결행하였다.
백현옥 (白顯鈺) BAIK HYUN-OK
1939.07.18 충남 장항 출생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학력>
1965 서울대 미술대학 조소과 학사 졸업
1985 한양대학교 대학원 조소 전공 석사 졸업
<주요 교육 경력>
2004 ~ 현재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1990 ~ 2004.08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교수
1984 ~ 1990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부교수
1981 ~ 1984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전임강사
1977 ~ 1980 숭실대학교 부교수
1973 ~ 1983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주요 경력>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
서울조각회 회장
춘천 MBC 한국현대조각 초대전 운영위원장
김종영기념사업회 운영위원
대한민국미술대전 추천작가
<상훈>
2013 한국미술협회 주관 미술인의 날 본상 수상
2004 근정포장
1977 제26회 국전 조각-구상 특선 <내일>
1976 제25회 국전 조각-구상 특선, 문공부장관상 <새날>
1975 제24회 국전 조각-구상 특선 <비>
1974 제23회 국전 조각-구상 특선, 문공부장관상 <비>
<주요 개인전>
2021 초대전, 김세중미술관(예정)
2014 초대전, 세종호텔 갤러리
2004 초대전, 모란미술관
1976 초대전, 아름화랑
1986 개인전, 미술회관
<단체전>
2004 월간 미술세계 창간 20주년 기념 초대전, 갤러리상
1999 마스터피스 99 명품전, 줄리아나갤러리
1998 공간 확산전, 대전시립미술관
1998 5인 조각전, 줄리아나갤러리
1998 200인 조각가 소형 작품전, 선화랑
1998 제16회 58동문전, 조형갤러리
1997 낙우조각회전, 공평아트센터
1997 한국현대조각초대전, 춘천문화방송 호반광장
1994 정도600년기념 도시의 환경조각전
1989 한국 조각미술대전, 한국무역센터
1988 백현옥, 진송자, 이명학 3인전, 삼청화랑
1988 한국현대 조각 초대전, 춘천MBC
1988 서울올림픽기념 한국미술 초대전
1988 한국 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1986 ~ 1994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1986 인천시 초대작가전, 인천문화원
1986 한∙일 조각전, 예화랑
1986 서울대학교와 한국미술, 서울대학교 체육관
1986 개교 40주년 기념전, 서울대학교 체육관
1986 서울미술제, 아시아올림픽기념, 서울시주최
1986 국립현대미술관 개관전, 한국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과천관)
1986 가나화랑 야외조각전, 호텔신라 야외
1985 송년전, 예화랑
1985 서울신문사 신축개관전, 서울갤러리
1984 한국인 여체조각전, 호암미술관
1983 국전 출신 작가전, 미술회관
1983 한국 조각가 10인 초대전, National Gallery, 바르셀로나, 스페인
1983 인천시 개항 100주년 기념전, 인천문화원
1982 ~ 1988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2 ~ 1986 서울조각회 파리전, 파리 한국문화원
1981 테라코타 10인전, 그로리치 화랑
1981 중앙미술대전, 중앙일보사 주최, 국립현대미술관
1981 오늘의 작가전, 미술회관
1981 서울조각회전, Paris, 한국문화원
1979 한국미술-오늘의 방법전, 미술회관
1978 한국작가 2인 초대전, 동경, 공업구학부(日本工業具樂部)
1977 강원현대미술제, 춘천공보관
1976 아름화랑전, 아름화랑
1975 문예진흥원 개관전, 미술회관
1975 현대미술관 개관전, 현대미술관
1974 한국조각대전, 현대미술관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호암미술관
김종영미술관
김세중미술관
모란미술관
새날의 아침상, 어린이 대공원
숙명여대 6개 단과대 상징탑, 숙명여대 본관
공주 웅진탑, 공주
숭전인상, 대전 캠퍼스, 한남대학교 *대표작
비룡탑, 인하대학교 *대표작
KAL여객기 피격희생자 위령탑, 천안 망향의 동산 *대표작
관훈 BLD, 새날의 상
김환태 문학 기념비, 무주, 나한통문
신라호텔 로비, 정원
김홍도 부조, 안산시 88기념관 정문
전기통신공사연구소, 한국통신공사
대한 투자신탁 본사 로비
한솔제지 정원, 천안공장
지석영 선생상 우두시술상, 인하대병원
여의도 대한투자신탁
소통의 장, 인천 교원 공제 회관
사신 분수, 제주 롯데 호텔
인천 조각공원
일산 호수공원
양재 시민의 숲
괌 비행기 사고 위령탑, 병천, 풍산 공원 *대표작
영덕 조각공원, 영덕군
김천시 조각공원
영주 체전 기념비
KBS홀
춘천 MBC
홍콩 이글그룹 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