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5길에 위치한 갤러리 라메르에서는 2021. 11. 3(수) ~ 2021. 11. 9(화)까지 김왕현 조각전 '자연과 함께 한 인간의 내면이야기'가 전시되고 있는 현장을 11월 6일 아트코리아방송 강익모 전시 평론가와 함께 전시장을 들렸다.
전시장의 자연속의 인간의 내면의 이야기가 담긴 조각 작품 마다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작가와 본 기자와의 인터뷰 진행 후 강익모 전시 평론가의 작품 평론이 진행되었다.
김왕현 작가노트-
작은 목선을 타고 목포를 왕래해야 하는 비금도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지냈다. 그 당시는 불편한 것으로만 생각했지만 지금은 미래의 낙원이라고 생각되고 나의 예술세계의 원천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목포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조선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한 후 1977부터 평택고등학교, 안양고등학교 교사로 10여년 근무를 시작으로 동신대학교 조형예술학과 교수 30여년 하고 최근 정년퇴임 하였기에 교직 생활과 함께 해온 작품 활동은 44년째가 된다.
내 인생의 목표가 예술가가 되고자 하였기에 다음과 같은 신념과 각오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첫째, 새로운 작품 세계를 찾기 위해서는 예술적 측면에서 보고 느끼는 오늘의 현실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고를 갖고, 작품은 늘 새롭게 변화 되어가야 하겠다.
둘째, 나의 사고는 올바르게 하고 어린이의 시각으로 모든 현실과 대상을 순수하게 보고 진실 되게 표현하려 했다. 진실 되게 표현한 작품에서 감동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고, 작품은 감동을 줄 수 있어야 한다.
19세기 러시아의 문학가였던 톨스토이(Leo Tolstol)는 1986년에 발표한 자신의 저서 「예술이란 무엇인가」에서 '움직임이나 선, 색채, 소리 또는 말로써 표현되는 형태에 의해 자기 자신 속에서 느껴진 감정을 다른 사람도 경험하게 만드는 것이 예술의 행위이다' 라고 했다.
셋째, 영국의 미학자인 클라이브 벨(Clive Bell)은 그림에 무엇이 묘사되는가에 대해서는 개의치 않고 오로지 그들이 만드는 물체(그림)의 모습만을 중요 시 했다
예술에 대한 두 사람의 주장을 요약해 보면 톨스토이의 접근 방식은 예술의 성격 가운데 표현적이거나 내용 전달 위주의 성격을 강조 했고, 반면 클라이벨은 예술의 형식적인 측면을 강조 하였다.
나는 이러한 두 가지의 관점이 양립 될 수 있다고 보면서 오늘까지 작품을 해 오고 있다.
넷째, 나의 고뇌는 내 작품의 맛을 살리는 조미료이고, 예술 그 자체는 나의 벗이다. 외로움과 고독의 세계를 소중히 생각하고 머릿속을 온통 비우고 작품 구상 하는 세계는 참으로 숭고한 세계이고 말이 없는 작품의 재료는 나의 가장 소중한 친구이다.
다섯째, 하루 24시간 중 2/3는 나 자신을 위해 찾고, 교직 생활과 함께 작품 활동을 해 왔기에 1/3은 직업 업무에 바치겠다는 각오로 살아 왔지만 정년퇴임 한 지금은 내 건강을 위해서 바치고자 한다. 내 건강은 내 인생 목표를 달성 할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교직 생활을 정년 한 오늘의 현실은 누구로부터 지시도 강요도 없는 자유로운 시간을 갖고 있기에 지나간 세월의 작품을 되돌아보면서 내 작품 세계가 변화되고 있음을 느낀다. 이와 같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되어가는 나의 작품세계 흐름을 정리하고 기록하고자 작품전시회를 갖게 되었다. '지금도 나는 청년이다'라는 정신으로 여생을 작품에 정진할 것이다
禽飛 김왕현
김왕현 조각전에...
자연적인 삶과 종교적인 신념을 이상화한 인물
글 신항섭(미술평론가)
모든 예술은 형식과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형식은 눈으로 인지되는 형태적인 면 즉 조형성을 뜻하고, 내용은 형식 속에 담긴 사상 철학 이념 따위를 말한다. 예술에는 이 두 가지가 동전의 양면처럼 존재하는 것이다. 형식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내용이 빈약하면 예술적인 가치는 떨어지게 마련이다. 또한 내용이 풍부하더라도 독자적인 형식미가 갖추어지지 않으면 보잘 것 없게 된다. 이상적인 것은 두 가지 예술적인 가치가 등가를 이루는 지점이다. 김왕현의 조각도 이와 같은 요구에 예외 일 수 없다. 10회(신세계갤러리) 및 11회(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개인전에서 보여준 그의 작품에서는 일단 개별적인 형식미를 완성하기 위해 전력투구하고 있다는 인상이었다. 최근에 도달한 그의 인체해석은 확실히 이전보다 한층 성숙되고 세련되어 보인다는 점에서 그렇다. 어쩌면 개별적인 형식미를 지척에 두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지 모른다. 몇 가지 새로운 시각의 조형언어 및 어법을 구사하면서 좀 더 명료한 형태적인 특징 즉 형식미를 추출해내려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이다.
김왕현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 동국대학교 대학원 졸업
국내개인전 | 11회 | 1988 제1회 禽飛 왕현 조각전 (경인미술관 1. 2실) | 1991 제2회 禽飛 왕현 조각전 (조형미술관) | 1995 제3회 禽飛 김왕현 조각전 (무역센터 현대아트갤러리) | 2001 제8회 禽飛김왕현 조각전(청담 다산아트갤러리 공동기획) | 2004 제9회 禽飛 김왕현 조각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 2005 제10회禽飛 김왕현 조각전 (광주 신세계갤러리) | 2007 제11회禽飛 김왕현 조각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안산단원미술관 순회 개인전) | 2008 제12회 禽飛 김왕현 조각전 (서울 코엑스 장보고홀) | 2010 제13회 禽飛 김왕현 조각전 (무등갤러리 1층) | 2013 제14회 禽飛 김왕현 조각전 (세종호텔갤러리) | 2021 제15회 禽飛 김왕현 조각전 (갤러리 라메르)
국외개인전 | 4회 | 1997 | 제4회 禽飛 김왕현 조각개인전 | 헝가리(기욜시 바로지 뮤베스트 박물관) | 제5회 禽飛 김왕현 조각개인전 | 폴란드(볼레스비치 세라믹 박물관) | 1998 | 제6회 禽飛 김왕현 조각개인전 | 독일 (베를린 로호 갤러리) | 2000 제7회 禽飛 김왕현 조각 개인전 (독일 쾰른)
단체전(group)전 및 초대전 | 1979~2020 | 남도조각회전 | 1979~1982 | 경기청년미술회전 | 1982~2021 | 한국미술협회전 (평택, 수원, 성남, 광주, 경기) | 1982~1983 | 동락전 | 1983~2014 | 한국구상조각회전 | 1985~1997 | 한국현대조각초대전 | 1988~1991 | 경기조각회전 | 1995~2021 | 한국조각가협회전 | 1997~2021 | 전국조각가협회전 | 2004~2021 | 전라남도미술대전 추천. 초대작가 | 2005~2021 | 목우회전 | 2011~2021 | 가톨릭미술가회전 | 2012~2021 | 경기미술대전 추천. 초대작가전 | 1980 | 한국미술지방미술단체연합전 (구상미술) | 1982 | 목포조각공원 출품 | 1984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기획 | 84-12개시도 미술대전 수상작품전 | 1986 | 평택시 승격 기념 미술초대전 | 조각가 100인 초대전 | 1988 | 화홍문화제 수원미술작가 초대전 | 1989 | 광주전남미술50년전 | 1992 | 오늘의 한국미술전 | 1993 | 한국미술 2000년의 도전전 | 의식의 확산 | 서경갤러리 개관 기념 초대전 | 오늘의 한국미술전 | 전국현대조각초대전 (광주문화예술회관) | 대전엑스포93기념초대전 | 1997 | 나주시민의 날 기념 영호남 한마당 작품전 | 제78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초대 97남도미술전 | 대한민국 구상미술단체 연합전 | 1998 | 목포개항 100주년 미술기념전 | 한국현대미술 100인 초대전 | 경기미술 새로운 지평전 | 국립중앙극장 '공연속의 조각전' | 1999 | 오늘의 세화전 | 극장을 찾는 사람들~공간편1999 | 2000 | 제1회 서울미술협회전 | 21세기 한국-이탈리아 아카데미 미술전 | 윙갤러리 개관 기념 초대전 | 2001 | 상계갤러리 개관 기념 초대전 | 국제조각축전 | 2003 | 한국현대조각 인물조각전 | 개천미술공모대상전 추천. 초대작가전 | 2005 | 공주국제미술제 특별전 | 미술과 비평 2005 초대전 | 2006 | 미술과 비평 2006아트페스티벌 | 조선대학교 개교 60주년 기념 만남 그리고 어울림 전 | pre- 국제 인천 여성미술 비엔날레, 조율 | 2007 | 2007한국미술평론지선정작가전 | 2008 | 숭례문 소실 100일 대한민국 조각 100인전 | A&C Art Fair Seoul 2008 | 남도! 그 질박한 삶의 토양 | 2010 | 솔뫼 성지 야외조각전 | 2010 대한민국미술축전 | 2012 | 중견작가 초대전 그리고 여정 | 2013 | 2013야외조각상설 초대전 | 갤러리 조이 기획전 | 2014 | 제10회 광화문국제아트페스티벌 | 2016 | 조선대학교 개교 70주년기념 조대미술70년전 | 2017 | 아름다운 우리 섬- 독도 | 2018 | 경기의 멋전 | ACAF 2018 | 2019 | 미술과 비평 특별기획 고흥을 그리다 | 2020 | ACAF 2020
해외전 (국제전 참가) | 1997 | '97국제메술제 (스위스 제네바) | '97국제아트페어 20c (벨기에 겐트) | 1999 | 유로아트 '99 (스페인 바르셀로나) | 2000 | 아트엑스포 뉴욕2000 (미국 뉴욕) | MAC 21말베라 (스페인 말베라) | 뉴아트스트 2000 (스위스 쮸리히)
공공미술 작품 제작 | 1989 | 안양문예회관상징조형물 비천상 ( 안양) | 1991 | 국립세무대학 상징 '학' 상 제작(수원) | 1996 | 국립 5.18묘역 성역화사업 부조조형물 제작 (5.18 묘역) | 1997 | 국립 5.18묘역 민주나무헌수기념비 제작 (5.18 묘역) | 1998 | 국립 5.18 사적지 표지석(광주사적지27곳) | 2000 | 경찰승전탑 조형물 제작 (전남 곡성) | 2002 | 월드컵4강기념 상징 조형물 (광주광역시 월드컵경기장) | 2003 | 나주 완사천 태조왕건, 장화왕후 동상 제작 | 2004 | 동신대학교 밀레니엄타워 | 2004 왕인박사 동상 및 일대기 석부조 제작 | 2007 | 목포문학관 (김우진, 박화성, 차범석) 흉상 | 2008 | 목포폴리텍Ⅴ대학 비마상 제작 | 목포가톨릭대학교 정문 | 2009 | 경기 오산휴게소 (경기 고속도로) | 2010 | 대한민국 15대 대통령 후광 김대중 동상 (김대중광장) | 2013 | 전남을 빛낸 12인 흉상제작(서재필, 허백련, 이난영, 윤선도,정약용, 장보고, 왕인, 정철, 김천일, 이순신, 나철, 초의선사) | 2014 | 4대강 승촌보 | 2015 | 아덴만여명 작전 전적비 해군작전사령부(부산)
수상 | 1973~1983 전라남도미술대전 입선, 특선 | 1982~1988 경기도미술대전 특선, 우수상, 금상 | 1982~1985 목우회 공모전 입선, 특선 | 1984~1988 동아미술제 입선 | 1984~1988 중앙미술대전 입선 | 1986~1987 서울현대조각공모전 입선 | 1984~1988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
심사 | 전라남도미술대전 조각부 심사 | 전라북도미술대전 조각부 심사 | 경상남도미술대전 조각부 심사 | 광주광역시미술대전 조각부 심사 | 대한만국미술대전 조각부 심사 | 천안시조각공원 심사 | 목우회 공모 미술대전 심사 | 제천시 만남의 광장 조각공원 심사 | 전남도문화상 심사 | 한국구상조각대전 심사 | 서울시 광진구청 조형물 심사 | 관광상품 전남도 심사 | 경기도미술대전 심사 | 목포 유달산조각공원 심의위원
운영위원 | 광주광역시미술대전 운영위원 | 전라남도미술대전 운영위원 | 개천미술대전 운영위원 | 대구청년비엔날레 운영위원 | 나주국제미술제 운영위원 | 경기도미술대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 전라남도미술대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현재 | 남도조각회 회원 |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 회원 | 한국구상조각회 회원 | 한국조각가협회 회원 | 전국조각가협회 회원 | 목우회 회원 | 한국가톨릭미술가회 회원 | 사단법인 전국조각가협회 이사장 역임 | 안양시, 구리시, 목포시, 전남도, 경기도 미술작품 심의위원 역임 | 동신대학교 조형예술학과 교수 역임
禽飛 김왕현미술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