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아트코리아방송 대상수상자 촬영자 일행은 아트코리아방송이 선정한 2021 대한민국 문화예술대상 섬유부문 정경연 작가를 찾아 인터뷰를 진행했다.
국내외 화단에서 ‘장갑 작가’로 잘 알려진 정경연 작가는 1974년 홍익대 미대 2학년 때 결혼했다. 남편을 따라 미국으로 건너가 매사추세츠 미대와 로드아일랜드디자인학교 대학원에서 염직공예를 공부했다. 어린 딸을 먼 이국으로 보낸 정 교수의 어머니는 고된 작업을 해야 하는 딸의 손이 걱정스러워 작업할 때 끼라며 면장갑 한 상자를 보낸다.
면장갑을 받아본 정 교수는 가슴이 먹먹했다. 먼 타국 땅에서 새삼 알게 된 엄마의 따뜻한 마음은 정 교수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따뜻한 모정에 대한 고마움, 그리고 고마움이 확대되면서 이 장갑을 주제로 수십 개의 면장갑은 삶과 고난이 담긴 노동자의 손, 인생의 희로애락이 담긴 노인의 손, 기도하는 손, 위로하는 손, 안아주는 손 등 작품의 주제가 될 수 있는 많은 이미지로 확장됐다.
정 작가는 “모든 인생살이가 점에서부터 시작해서 점, 점, 점이 모여서 선이 되고 그 선들이 모여서 형태가 되듯이 특히 제 80년도, 90년도, 2000년도 작품을 보면 블랙홀시리즈같이 장갑 끝이 골드핑거에요. 골드핑건데 많은 작품들이 무제 시리즈, 어울림 시리즈, 블랙홀 시리즈, 또 하모니, 골드핑거 이런 식으로 끝이 까맣거나 흰 게 많습니다.
요즘에는 이제 제가 어우러져서 많이 흐트러트리고 80년대에 컬러를 많이 썼었어요.
70년대에도, 그래서 사람들은 ‘어! 정 선생도 컬러를 쓰네’ 할 정도로 70년대 유학 시절과 초창기에 컬러를 많이 썼기 때문에 굉장히 미니멀 적으로 컬러를 절제하고 쓰다가 이제 어느 때부턴가 또 이렇게 다양하게 작업을 하는데 그래서 철학적이라기보다는 인생살이가 하루도 1시, 2시, 3시, 4시, 1분, 1초가 있듯이 그런 점, 점이 시작을 해서 그런 것들이 되는구나, 그래서 어쩌면 이 장갑 하나, 하나가 제 얘기일 수도 있고 친구 얘기일 수도 있고 우리들의 이야기들이 한대 어울려서 그래서 어울림 시리즈”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서 어울려서 함께 인생을 살아가는데 많은 그 기원을 담고 평화, 봉사, 사랑, 배려 이런 것들을 담아서 작업용 면장갑을 염색하거나 이어 붙이고 때로는 손가락 부분을 늘리거나 변형해 자신의 이야기는 물론 자연의 생성, 변화, 소멸 과정을 표현하는데 면장갑이 무엇보다 서민적인 소재여서 마음에 든다는 그는 손을 보호하는 장갑이 마치 사람들의 아픔을 따뜻하게 감싸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정 작가는 예술가로서 풀어야 하는 삶의 궁극적 의문들이 있었다. 정 작가는 성격적으로 자신에게 도전정신 있는 걸 느끼고 여러 종교를 느껴보면서 그렇게 종교에서 사람이 어디서부터 와서 이제 우리가 어디로 가는가를 제일 궁금해 했다.
교수 생활을 하면서도 입으로만 애들을 가르칠 게 아니라 ‘그 아이들이 보고 느끼는 게 중요하다’라는 생각으로 유학 시절과 교수가 되어서도 20여 년을 정말 매일 잠을 못 잔 거 같다고 회상했다.
섬유화가 정경연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재학 중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매사추세츠 칼리지 오브 아트에서 학사 과정을 마치고,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에서 섬유를 전공해 대학원을 마쳤다. 1980년부터 지금까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섬유미술ㆍ패션디자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경연 1955 부산출생(원적 강원도)
학 력
1996 모스크바 국립 스트로가노프 산업 미술 대학교(명예박사, 러시아)
1982 크스니안 쟈카르타 대학연수(자카르타, 인도네시아)
1979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석사,미국)
1978 메사츄세츠 컬리지 오브 아트 (학사,미국)
1974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2년 수료 (학사, 한국)
Fulbright 교환교수
-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Senior Researcher.(로드아일랜드, 미국, 1996)
국내외 55회 개인전 및 1천여 회 단체전(한국, 대만, 미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이태리, 스페인 등)
◈수 상
2020 대한민국 황조근정훈장 포상
제1회 아트코리아방송 올해의 선정작가
2018 뉴져지주 문화상(Culture Award NEW JERSEY USA)
2017 (사)한국기초조형학회 중국 운성 국제기획초대작품전 최우수 작품상
2015 AIAM(Amitiés Internationales André Malraux) 그랑프리(Grand Prix) (AIAM)
디자인코리아 2015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한국디자인진흥원)
최우수 작품상 수상((사)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올해의 최우수예술가상
제25회 목양공예상((사)한국공예가협회)
2012 From Lausanne to Beijing 은상 및 특별상(국제섬유비엔날레,중국)
제 6회 대한민국미술인상 여성작가상
2011 30년 근속 표창장(홍익대학교)
2009 Fulbright 자랑스러운 동문회 상
2008 이중섭 미술상
2006 대한민국 디자인 대상 근정포장 수상
2005 MANIF11!05 서울국제아트페어 초대작가 대상 (MANIF조직위원회)
2001 20년근속 표창장
국무총리 표창장
1991 10년 근속 표창장
1990 제1회 오사카 트리엔날레 ‘90 특별상(회화부분)(오사카, 일본)
제1회 석주미술상(한국)
1988 88‘미술 기자상(한국기자협회)
1986 바그다드 세계미술대회 동상(바그다드, 이라크)
◈ 현 재 (2021.4.22 업데이트)
홍익섬유.패션조형회 회장, (사)한국미술협회 상임자문위원, 인도박물관 부관장, 한국 섬유미술가회 자문위원, (사)서울미술협회 부이사장, (재)한영 장학재단 등기이사 및 운영위원장, (사)한국섬유패션산학협회 고문, (재)지혜로운 여성 고문, 불교여성개발원 고문, (재)석주문화재단 상임이사, (재) 태진문화재단 이사, (재)재단법인 섬유패션 정책 연구원 등기이사, (사)전국여교수 연합회 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