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가 얼마나 큰 것인가를 가르쳐주는 것은 거대한 고독뿐이다.”- Albert Camus

우주를 집어삼키는 나 '추은영 Black Hole Cygnus X-1'에 부쳐 -

“우주가 얼마나 큰 것인가를 가르쳐주는 것은 거대한 고독뿐이다.”- Albert Camus
[이재걸 미술평론] 

[이재걸 미술평론] 우주를 집어삼키는 나 '추은영 Black Hole Cygnus X-1'에 부쳐 -
[이재걸 미술평론] 우주를 집어삼키는 나 '추은영 Black Hole Cygnus X-1'에 부쳐 -

 

백조자리 X-1
1964년에 발견된 ‘백조자리 X-1(Cygnus X-1)’은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X선 천체 중 하나이다. 거리가 약 7,200광년으로 지구와 가장 가까운 블랙홀이기도 하며, 스티븐 호킹과 영화 《인터스텔라》의 과학 자문을 맡기도 했던 킵 손(Kip Stephen Thorne)이 1974년에 이것의 정체를 두고 내기를 걸면서 유명해지기도 했다. 시간이 지나 1990년에 백조자리 X-1이 블랙홀이 아닐 수도 있다고 주장했던 호킹이 내기에 졌음을 인정하면서, 이 블랙홀은 인류가 발견한 최초의 블랙홀로 공식적으로 등극하게 되었다. 사실 호킹도 이것이 블랙홀이라고 생각했으나 내기에 지더라도 자신의 블랙홀 이론이 옳았다는 성공의 의미를 얻을 수 있었기에 그 결과가 무엇이든 상관없었다. 결국, 호킹은 내기 상품이었던 성인 잡지 1년 구독권을 손에게 보내게 되었다. 두 명의 위대한 이론물리학자들의 유머러스한 내기와 함께 신비와 경이(驚異)의 대상이었던 블랙홀은 그렇게 우리의 현실이 되었다. 

[이재걸 미술평론] 우주를 집어삼키는 나 '추은영 Black Hole Cygnus X-1'에 부쳐 -
[이재걸 미술평론] 우주를 집어삼키는 나 '추은영 Black Hole Cygnus X-1'에 부쳐 -

 

익히 알려진바, 블랙홀은 중력이 너무나도 강해서 탈출속도가 광속을 초과하는, 그래서 빛조차도 그곳의 바깥으로 벗어나지 못하는 괴물 같은 천체이다. 그런데 블랙홀이 모든 물질을 삼키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블랙홀은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 안, 즉 무한한 어둠 속으로 물질을 빨아들이는데, 블랙홀의 중력에 끌리기 직전에 빠져나가는 물질은 에너지를 강력하게 뿜어내는 제트(jet)의 형태로 우주 저 멀리 날아간다. 블랙홀 주변의 물질 유입과 방출 기작(機作)이 무엇인지, 어떻게 은하보다 더 큰 크기의 제트가 발생할 수 있는지는 아직 알 수 없으나, 분명한 점은 블랙홀은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숨 쉰다는 것이다. 

[이재걸 미술평론] 우주를 집어삼키는 나 '추은영 Black Hole Cygnus X-1'에 부쳐 -
[이재걸 미술평론] 우주를 집어삼키는 나 '추은영 Black Hole Cygnus X-1'에 부쳐 -

 

블랙홀과 나(我)
자신만의 독창적인 조형 언어를 통해 억눌린 실존의 요구와 구원(救援)의 메시지를 작품에 담아 온 작가 추은영이 이러한 블랙홀의 매력에 빠져든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작가에게 블랙홀은 여전히 우리 지성(知性)의 어두운 공백 중 하나이지만, 호기심을 끝없이 자극하는 미지의 대상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실험적인 재료와 방식으로 제작된 소용돌이 모양의 설치 작품과 혼돈과 질서의 성장을 동시에 보여주는 3D 영상 이미지들이 주를 이룬다. 제목도 <Black Hole Cygnus X-1>을 필두로, <Accretion Disk>(강착 원반), <Event Horizon>(사건의 지평선), <Relativistic Jets>(상대론적 제트) 등과 같이 예사롭지 않다. 

[이재걸 미술평론] 우주를 집어삼키는 나 '추은영 Black Hole Cygnus X-1'에 부쳐 -
[이재걸 미술평론] 우주를 집어삼키는 나 '추은영 Black Hole Cygnus X-1'에 부쳐 -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