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한국전각협회 사무총장이자 전각과 서예·그림의 전문 모임 단체인 중국 서령인사명예사원이기도 한 김영배 작가가 전시회를 개최한다.

김영배 서예·전각전 ‘붓과 칼 꽃으로 피어나다’
김영배 서예·전각전 ‘붓과 칼 꽃으로 피어나다’

 

2023년 10월 25일부터 10월 31일까지 인사동 소재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1층에서 ‘청운김영배서전(靑耘金榮培書展)’은 ‘붓과 칼끝에서 피어난 꽃(刀筆生花)’이라는 부제로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김영배 작가가 오로지 서예와 전각을 하면서 살아온 지난 40여년의 여정을 돌아보고 나아갈 미래를 새롭게 모색해보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되는 작품은 노자 도덕경 81각, 해서 금강경 5,000여자, 행서 전·후 적벽부, 논어와 채근담 등 동양고전의 명문구를 작품화하여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조용한 개인별 회고의 시간과 삶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여정이 되고 있다. 그 중 노자 도덕경 전각 81각은 그 섬세하고도 지난 작업의 과정도 감탄할 정도지만 그 생동감 넘치는 칼의 획은 손이 베일 듯 살아 움직이는 듯하여 보는 이들이 생기를 충만할 정도다

김영배 작가는  “서예란 마음을 그림의 형태로 풀어내는 예술”로서 “서예와 전각은 따로 떠어져 설명되기 어려운, 항상 함께해야 하는 관계”라고 지론처럼 얘기해 왔으며 이번 전시회에서도 변함없이 서예 작품과 전각 작품은 함께 어우러져 꽃으로 피어나고 있다.

먼저 서예분야 작품으로 시경(詩經)ㆍ주역(周易)ㆍ사서(四書)의 문장과 한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서체의 작품이 눈길을 끈다. 특히 대작으로 세로2.4m x 5m의 한글 훈민정음 해례본과 해서로 쓴 금강경(金剛經) 5,000여 자와 행서로 쓴 전·후 적벽부(前後赤壁賦)는 관객의 발길을 멈추게 하고 잠시 생각에 잠기는 시간을 부여해 주는 듯하다. 전각 작품으로는 노자(老子) 81편 전체 문장을 변관(邊款)으로 작품화하고, 노자 81장의 문장을 각 장마다 한 구절씩 뽑아 81개의 전각인면(篆刻印面)으로 새겨 가치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정작 작품을 전시장에 펼친 김영배 작가는 특유의 어린애 같은 미소로 한없이 부끄러워하고 있다. 그는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열심히 한다고는 했지만, 마음에 와 닿는 작품은 없다”면서 “미흡한 작품이나마 관람하시고 고견 주시면 감사할 뿐”이라고 한다.

김 작가는 서예를 전공한 뒤 성균관대 대학원 유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는 등 전서, 전각 분야에서 실기와 이론을 고루 갖췄다.

김 작가는 "글씨를 쓸 때는 내적인 마음과 밖에 있는 사물의 영향을 받는다. 좋은 종이와 먹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흥취가 유발할 때, 홀연히 영감이 떠올라 글씨를 쓰고 싶을 때 이것에 이르면 명쾌하여 일필휘지 할 수 있다" 면서 "심신과 지기가 바르면 글씨도 바르게 될 것" 말했다.

김영배 서예·전각전 ‘붓과 칼 꽃으로 피어나다’
김영배 서예·전각전 ‘붓과 칼 꽃으로 피어나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자 한중일 서예계 대가로 정평이 난 작가의 스승 초정 권창륜(艸丁 權昌倫.) 선생은 이번 전시회를 맞아 “청운의 학서 태도와 의취는 서법이 지향해야 할 바를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화질상반(華質相伴)과 신채(神采)로서 더욱 승화된 자창풍격(自創風格)을 이루기를” 기대한다고 평했다.
특히 초정 선생은 이번 전시회의 부제인 ‘도필생화(刀筆生花)’를 지어 주었는데, “이태백이 꿈에 붓끝에서 연꽃이 핀 꿈을 꾼 뒤 더욱 문명(文名)이 드높아졌다는 몽필생화(夢筆生花)의 고사를 빌어 청운이 전각의 도필(刀筆)과 글씨의 모필(毛筆)의 상호 조화를 이루어 낸 것을 풍자하여 붙였다. 청운(靑耘)의 서품(書品)의 창경고졸(蒼勁古拙)한 필획(筆劃)의 선조(線條)와 도필(刀筆)의 자법(字法), 도법(刀法), 장법(章法)이 혼융(混融)된 솰필(刷筆)은 대전(大篆)과 한글 판본체(版本體)에서 그 백미(白眉)를 표출하였다.
서통즉(書通則) 변(變)이란 대명제(大命題)를 표방하여 이기위주(以氣爲主)로 휘쇄(揮灑)한 역작(力作)이 아닐 수 없다.

우선 도필(刀筆)과 모필(毛筆)의 특성을 혼효(混淆)시켜 천연의 선질(線質)을 표출시켜 자연미를 창출해 내었고, 나아가 형변(形變)과 체재(體裁) 변화를 가하여 장폭(長幅) 장체(長體)를 구사하여 감상자로 하여금 삽상(颯爽)의 쾌감을 자아내었다. 몇 작품의 특성을 짚어보면 <사랑품고> 한글 판본체 필의는 천균노(千鈞弩)의 선조(線條)로서 천지초판(天地初判)할 때 음양(陰陽)이 태생(始生)하는 획질(畫質)이 엿보인다. [도필생화(刀筆生花) -청운서전(靑耘書展)을 기림-중에서 발췌] 

전시회를 앞두고 지도교수였던 김기탁 전 국립상주대학교 총장은 "2013년 첫 개인전 이후, 두 번째 전시회를 갖는다는 것은 서예술에 대한 기(技)와 감각(感覺)이 눈을 뜨게 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서예(書藝)는 이미 동양의 예술로 우리 선조들은 대(代)를 이어 오면서 한문·한글을 먹으로 자형(字形)을 예술적 표현으로 승화하는 것”이라면서 청운은 참으로 대견하게 고난을 잘 참고 끊임없이 수련과정을 통해 처음 입선작품이 세상에 선을 보였을 때 참으로 놀랐다. 고여 있는 물은 상하게 마련이다. 청운에게 만족하지 말고 쉼 없이 항상 새로운 변화와 도약을 꿈꾸며 노력하는 진정한 예술가가 돼라"고 개인전 축하와 함께 조언도 덧붙였다.

김대원 경기대학교 명예교수는 "청운의 서예나 전각작품을 볼 때 항상 기운(氣韻)을 느낀다"면서 "선본(善本)과 본받을 만한 법첩(法帖)은 석도가 기이한 봉우리를 다 찾아 초고를 그렸듯이 서법을 익혔으니, 법고창신(法古創新)한 세계를 보여줄 때라"고 말했다.

두 번째 기획전을 앞둔 김영배 작가는 ”후배양성을 위해 경기도 부천시에서 서예학원을 하다 서울시 인사동으로 이전해 40년간 후배 양성을 하고 있지만 이제는 학교에서 서예과가 없다보니 서예를 배우겠다는 학생들보다 취미로 활동하는 사회인이다“라면서 ”배울 제자가 없어 어려움이 있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 성균관대 철학박사(동양미학)
- 한국서총ㆍ한국서예진흥재단 감사
- 한국전각협회 부회장 겸 사무총장
- 중국서령인사 명예사원
- 한국서예가협회 상임이사
- 한국서예학회 이사

김영배 서예·전각전 ‘붓과 칼 꽃으로 피어나다’
김영배 서예·전각전 ‘붓과 칼 꽃으로 피어나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