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성북구립미술관에서는 한국 근현대미술사의 주요 작가인 윤중식, 박수근, 이중섭 작가의 3인전 ‘화가의 벗: 시대공감’展이 2023년 4월 27일~6월 30일까지 열리고 있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이 질문하고 김경민 성북구립미술관 학예사가 설명하고 있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이 질문하고 김경민 성북구립미술관 학예사가 설명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지난 2022년 3월 윤중식 작가의 유족이 성북구립미술관에 기증한 윤중식 컬렉션 500점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개최된 ‘회향懷鄕’展(2022.3.30.-7.3.)에 이어 2부로 기획된 전시로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과 5월 22일 오전 11시에 성북구립미술관에서는 김경민 학예사가 우리를 맞았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이 질문하고 성북구립미술관 김경민 학예사의 해설로 이번 전시에 대한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이 질문하고 김경민 성북구립미술관 학예사가 설명하고 있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이 질문하고 김경민 성북구립미술관 학예사가 설명하고 있다.

본 전시에서는 한국 근대 서양화 도입기에 해당하는 윤중식(1913-2012)과 함께 동시대 화가이자 벗이었던 박수근(1914-1965), 이중섭(1916-1956)이 작품 초기 서양화를 받아들이며 시도했던 다양한 조형적 실험들을 새롭게 조명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일제강점기와 해방, 6.25전쟁 등 격동과 변화의 근현대사 속에서 그들이 공유했던 시대의 감성과 화풍 그리고 예술적 동지로서의 교류 관계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시에서는 윤중식, 박수근, 이중섭 작가의 주요 작품 및 자료 등 총 100여 점을 선보이고 있다.

성북구립미술관-왼쪽 임직순, 김형구, 윤중식 1981
성북구립미술관-왼쪽 임직순, 김형구, 윤중식 1981

 

1910년대 주로 일본을 통해 받아들인 서양화는 윤중식, 이중섭, 박고석, 장욱진 등 1930, 40년대의 작가들을 통해 아카데미즘에서 벗어난 대담한 형식과 개성 그리고 우리 민족의 정서와 향토성을 지닌 독자적인 세계를 이루어냈으며, 이는 오늘날 한국 현대미술로 이어지는 다채로운 초석이 되었다. 

전시가 시작되는 2층 전시실에서는 자기 고유의 작품 스타일을 형성하기에 앞서 세 작가들이 심취했던 서양의 미술 양식들과 구체적으로 영향을 받은 화가들을 파악해볼 수 있는 작품들이 전시된다. 1935년 도쿄 제국미술대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한 윤중식은 당시 마티스의 제자였던 스승을 비롯하여 모던 아트의 개성을 추구하던 학풍 속에서 야수파, 표현주의, 자연주의 등 다양한 미술 양식들을 탐구하였으며, 이와 같은 조형적 실험을 80, 90년대까지 지속하였다. 또, 1936년 제국미술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년 만에 보다 자유로운 분위기의 문화학원으로 옮겨간 이중섭은 루오와 피카소 등에서 영감을 얻은 화풍을 종종 선보였다. 

성북구립미술관-왼쪽 장리석, 박항섭, 윤중식, 문선호, 최영림
성북구립미술관-왼쪽 장리석, 박항섭, 윤중식, 문선호, 최영림

‘밀레와 같은 화가’가 되기를 꿈꿨던 박수근은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인하여 독학으로 그림을 익혔다. 그는 밀레의 작품 사진을 모아 직접 ‘밀레 화집’을 만들기도 하였으며, 고흐나 피카소와 같은 서양화가들의 화집을 구입하여 작품은 연구하였다. 본 전시에서는 윤중식의 <장미 한 송이>(2004), <곡예사>(1998) 등을 비롯하여 이중섭의 <해변의 가족>(1950년대), <가족>(1950년대)과 박수근의 <임화 피카소>(연도미상), <인물화>(1960) 등을 선보인다. 

또, 전시실 내 마련된 아카이브 섹션에서는 윤중식과 이중섭, 박수근의 인연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들도 함께 전시된다. 윤중식과 이중섭은 일본 유학 시절부터 조선인 미술학도들의 결속체였던 백우회(白牛會)에서 함께 활동하였으며, 귀국 후 평양에서 열린 《 6인전》 (1945년/윤중식, 이중섭, 문학수, 김병기, 황염수, 이호련 참여), 피난 시절 대구, 부산에서 개최된 《월남미술인전》 (1952년) 등 여러 단체전 등에 참여하였다. 1940년부터 평안남도 도청 사회과 서기로 근무하고 있던 박수근은 최영림, 장리석, 황유엽 등과 결성한 「주호회(珠壺會)」(1940년 창립) 멤버로서 평양의 화가들과 본격적으로 교류하기 시작했으며, 이 무렵 참여한 다수의 전시회를 통해 이중섭과도 만났다. 이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월남한 작가들은 각각 대구, 부산, 군산, 서귀포 등 각지에서 피난 생활을 거쳐 상경하였고, 1954년 서울 종로 4가 천일백화점 안에 자리한 천일화랑의 개관기념으로 개최된 《한국현대미술작가》 전에 세 작가가 함께 참여하였다. 

성북구립미술관-윤중식 개인전 현대화랑 왼쪽 송응성, 윤중식, 장리석, 최영림, 이대원, 이일, 오광수, 문선호 1975
성북구립미술관-윤중식 개인전 현대화랑 왼쪽 송응성, 윤중식, 장리석, 최영림, 이대원, 이일, 오광수, 문선호 1975

전시에서는 생전 윤중식 작가가 직접 모아둔 스크랩북에 보관된 ‘월남미술인작품전 안내장(1952년)’, ‘현대미술작가전목록(1954년, 천일화랑)’ 등 작가들이 함께 참여한 전시 자료들뿐만 아니라 ‘제 6회 종군미술전람회작품목록(1953년)’, 윤중식과 박수근의 전쟁 드로잉 등 한국 전쟁의 비참함 속에서도 예술활동을 통해 기록한 시대상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이어지는 3층 전시실에서는 월남 이후의 피난 시절을 비롯하여 1950년대의 서울 시절 등 화가의 시선으로 기록해놓은 시대의 풍경들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전시에서는 윤중식의 <서대문 풍경>(1954), <고목>(1969), 박수근의 <창신동 집 풍경>(1961) 등을 비롯하여 이중섭의 <환희>(1954-1955), 박수근의 <사랑(바위와 새)>(1964) 등 1956년 작고한 이중섭과 1965년 작고한 박수근의 마지막 시기에 해당하는 주요 작품들도 전시된다.  아울러 전시실 내 별도로 마련된 「은지화의 방」 섹션에서는 최초로 공개되는 윤중식의 은지화 2점과 이중섭의 은지화 3점, 박수근의 은지화 1점(영인본) 그리고 평양과 부산 피난 시절, 그리고 월남 이후 서울 시절까지 세 작가와 깊은 인연을 맺었던 최영림의 은지화와 금지화 3점을 포함하여 총 9점이 전시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중섭의 작품 세계를 대표하는 ‘은지화’ 속에서 전쟁이라는 어려운 시절을 함께 겪어낸 근현대 화가들의 시대적 공감대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영상실에서 상영되는 화가들의 유족 인터뷰와 미술사가(평론가)의 인터뷰를 통해 윤중식의 성북동 시절(1963~2012), 이중섭의 정릉동 시절(1955~56) 등 성북 지역과의 인연을 비롯하여 세 작가의 인간적인 관계 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성북구립미술관-왼쪽 앞줄 임직순, 박광진, 가운데줄 윤중식, 이종우 뒷줄 왼쪽 김형구 성북동 윤중식 자택
성북구립미술관-왼쪽 앞줄 임직순, 박광진, 가운데줄 윤중식, 이종우 뒷줄 왼쪽 김형구 성북동 윤중식 자택

이처럼 본 전시에서는 윤중식 컬렉션에서 발굴한 작품들과 자료를 기반으로 일제 강점기와 해방, 6.25 전쟁이라는 시대적 아픔을 겪으면서도 서로를 벗으로 삼아 작품 활동을 이어갔던 화가들의 생생한 역사를 선보인다. 아울러 근대 서양화가 도입되던 시절부터 윤중식, 박수근, 이중섭 작가가 자기 고유의 화풍을 이룩하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노력했던 내밀한 흔적들을 살펴볼 수 있는 작품들이 전시된다. 

The Seongbuk Museum of Art presents the three-person exhibition 《Yoon Jung-sik, Friends and Contemporaries》, which features the work of Yoon Jung-sik, Park Su-keun, and Lee Jung-seop. The three artists are all major figures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and the exhibition consists of a total of 100 pieces, including major works and materials by each of the three artists. This show elaborates on the exhibition 《LA NOSTALGIE》(March 30, 2022~July 3, 2022), which was about the 500 artworks from Yoon Jung-sik’s collection that were donated to the Seongbuk Museum of Art by his bereaved family. 《Yoon Jung-sik, Friends and Contemporaries》 highlights the vivid history of the featured artists who pursued their work while sharing in the pai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Korean War. In addition, the exhibited works and materials represent their formative experiments and trace their efforts to achieve their own style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modern Western painting. This exhibition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artistic sensibilities of a group of artists with shared cultural experiences shaped by the turbulent modern history of Korea and to look back on the passion and originality of these artists who forged a prominent place in the art world.

성북구립미술관 '화가의 벗-시대공감'展-윤중식-무제
성북구립미술관 '화가의 벗-시대공감'展-윤중식-무제
성북구립미술관 '화가의 벗-시대공감'展-윤중식-고목
성북구립미술관 '화가의 벗-시대공감'展-윤중식-고목

윤중식-1913~2012
1913년 평안남도 평양 출생. 숭실중학교 2학년 때인 1931년 조선미술전람회 서양화부에서 소녀와 풍경을 그린 유화 두 점이 입선하며 본격적으로 화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35년 숭실중학교 졸업 후 일본 동경 제국 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하였으며 6.25전쟁 이후 부산, 대구 등지에서 피난 생활을 거친 작가는 휴전 직후 상경하였다. 1954년 화신백화점 화랑에서 열린 첫 번째 개인전 이후 14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국내외 단체전에 참여하며 작품 활동을 지속하였다. 1953년 <가을풍경>으로 제 2회 국전에서 특선을 수상하였으며, 1956년 <교회와 비둘기>로 제8회 미협전에서 문교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이 외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및 심사위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서울시 문화상(1992), 제29회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1997), 대한민국예술원상(2003) 등을 수상하였다. 2010년 성북구립미술관 개관전을 비롯한 다수의 기획 전시 등에 참여했던 윤중식 작가는 2012년 국내 화가로는 첫 상수(上壽·100세)전이자 자신의 마지막 개인전인 《윤중식》展을 끝으로 작고하였다. 1963년부터 2012년까지 성북구 성북동에서 거주하였다.

성북구립미술관 '화가의 벗-시대공감'展-박수근-언덕위의 풍경
성북구립미술관 '화가의 벗-시대공감'展-박수근-언덕위의 풍경
성북구립미술관 '화가의 벗-시대공감'展-박수근-제비
성북구립미술관 '화가의 벗-시대공감'展-박수근-제비

박수근-1914-1965
1914년 강원도 양구 출생.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인하여 독학으로 그림 공부를 시작했다. 1932년 조선미술전람회에 수채화 <봄이 오다>가 입선된 이후 1936년부터 1944년의 마지막 회까지 이 전람회 에 응모하여 입선하는 등 화가로서의 활동을 이어나갔다. 1939년부터 결혼과 함께 평남도청 사회과에서 근무하며 평양으로 근거지를 옮겼고, 이 시절 최영림, 장리석, 황유엽 등과 '주호회(珠壺會)'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6.25 전쟁 이후 피난 시절을 거쳐 1952년 상경한 작가는 종로구 창신동, 동대문구 전농동 등지에서 거주하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대한미협전 등에 참여하며 작품 활동을 지속하였다. 1959년부터 국전의 추천 작가가 되었으며, 이어 1962년에는 국전 심사 위원이 되었다. 박수근 타계 이후 부인 김복순과 장남 박성남의 노력으로 해외로 반출된 작품들 대부분이 다시 국내로 들어오게 되었으며, 가족들과 동료 화가들, 지인들의 노력을 바탕으로 2002년에는 박수근의 고향인 양구군에서 양구군립박수근미술관이 개관하였다.

성북구립미술관 '화가의 벗-시대공감'展-이중섭-복숭아와 아이들
성북구립미술관 '화가의 벗-시대공감'展-이중섭-복숭아와 아이들

이중섭-1916-1956
1916년 평안남도 평원 출생. 어린 시절부터 그림에 뛰어난 소질을 보인 이중섭은 평양 공립종로보통학교와 오산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유학을 떠났다. 1936년 제국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하였으나 1년 후 도쿄 문화학원으로 옮겼다. 재학 중 자유미협전에 출품하여 제4회 '태양상'을 받는 등 작품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45년 문화학원 후배 야마모토 마사코와 결혼하였으며, 6.25 전쟁 때 가족들과 부산으로 피난을 내려왔다. 이후 제주도와 부산에서 함께 생활하던 가족을 일본으로 보낸 뒤 홀로 통영·마산·진주 등지를 전전하였다. 부산 피난 시절 박고석, 한묵, 이봉상 등과 같이 만든 기조전(其潮展)과 신사실파 전시에 참여하였으며, 통영·서울·대구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1955년 12월 말부터 1956년 6월 말경 박고석, 한묵 등과 함께 성북구 정릉에서 거주하며 유화, 표지화, 삽화 등 다수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1956년 서대문 서울적십자병원에서 이중섭이 사망하자, 동료화가 및 문인들과 함께 장례를 치른 박고석은 이중섭의 뼛가루 일부를 정릉 청수골에 뿌려주었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이 질문하고 김경민 성북구립미술관 학예사가 설명하고 있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이 질문하고 김경민 성북구립미술관 학예사가 설명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