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의 역사적 근간 Ⅰ
   
미학이란 미, 혹은 예술, 감성적 인식을 주제로 하는 철학적 과학이다. 철학적이라는 것은 개개의 예술작품이나 시대양식 등이 구체적인 본연의 자세가 아니다. 오히려 그 특수상(特殊相)을 규정하는 보다 원리적·본질적인 상(相)을 지향하는 학문을 가리키며, 과학이라는 것은 단순한 직관적인 인식만이 아니라 분절(分節)된 문제체계를 지닌 학문 분야를 의미한다. 근대적인 미학은 라이프니츠·볼프학파에 속한 독일의 철학자 바움가르덴(Baumgarten)이 1935년에 그 필요성을 지적하고 1742년에 오데르대학에서 그 표제(表題)와 함께 강의를 하면서 1750년에 서명한 라틴어 저작 제1권을 공간했다.  그리고 존재를 주장했다.〈1735년 소론(小論)에 의한 표제는 「시에 대한 약간의 철학적 고찰(Meditationes philosophicae de nonnullis ad poema pertinentibus)」이라고 한다〉

바움가르텐
바움가르텐

이전에도 미의 철학이나 예술론은 존재했다. 그러나 그 고찰이 독자적으로 명칭을 가졌는가 아닌가는 결코 단순한 명목상의 문제만은 아니었다. 무엇이든 명칭이 처음으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바움가르덴이 이 학문의 명칭으로 한 aesthetica는 그리스어에서 감각적 지각을 의미하는 aisthésis를 어간으로 하는 조어로써 문자 그대로 직역하면 감성학이다. 그러나 근대미학의 명명자(命名者)는 감성적 인식의 완전성을 미로 간주하고, 그 미를 문학의 영역에 있어서 생각했기 때문에 미와 예술을 감성적 인식에 중합(重合)하게 되었다.〈바움가르덴 『미학』 제14절〉

현대의 서구어에 있어서 aesthetics는 대부분 예술철학이나 예술학의 의미에서 이해되고 있지만 그때 감수성이라는 어의가 무시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명칭을 회피하는 사람도 있었고, 편의적인 명칭으로 받아들인 사람도 있었다. 미적태도ㆍ 미적질ㆍ미적범주ㆍ미적판단 또한 감성학으로 구상하는 가능성도 열려 있었다. 그런데 이 학문은 무엇보다도 우선은 미의 학문이며 서양인들의 견지(見地)에서는 큰 견해 차이를 보인다.

미학에는 예술ㆍ미ㆍ감성적 인식이라는 3대 주제가 중심이다. 단 3자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면 다양할 수 있다. 누구나 바움가르덴 같이 3자가 중복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이 관계를 생각하는 것에 의해 미학의 방법이 다양해진다. 이 세 개의 주제는 미학(aesthetics)이라는 학문의 가능적인 지평을 가리키는 것이다.

미와 예술을 중합시키는 근대미학에 대해 미와 예술이 겹치지 않는다는 주장이 현재화(顯在化)하여 온 것은 19세기 말 무렵이다. 이 주장 배후에는 미가 없는 예술의 대두, 특히 자연주의와 인식을 주안으로 하는 예술관의 진전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예술을 미의 향수(享受)가 아니라 인식이나 진(眞)과 결부시킨 생각은, 특히 문학의 경우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시학(詩學)』 이래 오랜 전통을 갖고 있다. 이 주장을 선도하여 예술학의 시조가 된 것이 피들러(K·Fiedler)이다. ‘미학 및 예술학의 영역에 있어서 최초의 잘못은 미와 예술을 동일시한 것이다’라고 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미는 개념으로부터는 구성되지 않는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