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제40회 With Artists에서는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 들려 김달진 관장이 소개하는 ‘사후에 재평가된  작가 황창배’ 작가편을 촬영하기 위해 2023년 4월 17일 오후 4시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을 찾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이 황창배 작가를 소개하고 있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관장이 황창배 작가를 소개하고 있다.

소정 황창배(1947-2001는 “한국화의 테러리스트, 한국화단의 이단아”라는 수식어를 가지고 있다. 남들과 달리 독특한 수식어를 갖게 된 이유는 틀에 박히지 않은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화법을 구사하기 때문이다. 작가는 엄숙하고 틀에 박힌 한국화의 틀을 깨부수려고 한 최초의 인물로 꼽힌다. “예술은 무법(無法)이다”라는 신념으로, 전통에 안주하지 않고 자유를 중시하며 한국화와 서양화의 재료, 기법 등을 자유롭게 실험하고 발전시켜 본인만의 작품세계를 구축해나갔다.  

비51 1978 국전 대통령상
비51 1978 국전 대통령상
 무제 2 1987
 무제 2 1987

황창배는 1977년 〈秘31〉로 제26회 국전 문화공보부 장관상을, 다음 해인 1978년 제27회 국전에 〈秘51〉을 출품하여 한국화 비구상으로 대통령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작가는 그 후 열심히 작품활동에 몰두하며 전시회를 열었고, 동시에 여러 대학교에 교수로서 많은 제자를 육성해 나갔다.

무제 1990
무제 1990
무제 2 1996
무제 2 1996

작가는 방북 1호 화가라는 특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1997년 중앙일보사 통일문화연구소가 기획한 ‘북한문화유산조사단’의 일원으로 선정되어 국내 화가 최초로 북한을 방문하였다. 황창배 작가는 조사 기간 동안 북한의 일상적인 모습들과 풍경들을 열심히 그려내었고, 그 후 선화랑에서 열린 《황창배 북한기행 그림전》과 여러 인터뷰 기사 등을 통해 대중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으며, 북한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주는 역할을 했다

무제 1996
무제 1996
황창배 작가
황창배 작가

황창배 작품은 작품의 제목이 없는 무제 시리즈가 많다. 작품의 제목을 달 시간에 작품 하나를 더 완성하겠다는 작가의 의지 때문이다. 그의 무제 작품 특징으로는 그림과 글씨가 한 화면에 공존하고, 실험적인 재료를 사용한 평면적인 작품이 많다. 언뜻 보면 황창배의 작품은 난해하고 어린아이 낙서처럼 보인다고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조금 비틀어 생각해본다면 그의 작품은 정형화되어 답답할 수 있는 한국화의 기법이나 특징을 벗어던지고 자유롭고 유쾌하게 단순화되어 드러난다. 작가는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익숙한 이미지들을 사용하여 재치있게 표현해냈다. 다양하고 자유로운 기법으로 유쾌하게 작품을 그려내지만, 그는 전통미술에 대한 기초는 탄탄하다는 점을 놓쳐서 안 된다. 대학 시절 월전 장우성에게 동양화의 기초와 문인화의 정신을 배웠고, 철농 이기우에게 서예와 전각 배웠다. 이렇듯 두 스승 밑에서 배운 전통적인 동양화에 대한 이해가 풍부하기 때문에, 다양한 해석을 시도해볼 수 있었다.

제40회 With Artists- 사후에 재평가된  작가 황창배
제40회 With Artists- 사후에 재평가된  작가 황창배

황창배는 화가로서 무궁한 잠재력을 펼치던 도중 2001년 54세에 세상을 떠났다. 1990년대 한국화단에 ‘황창배 신드롬’을 만들어 낼 정도로 후배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아쉬움이 많았다. 사후에 동덕아트갤러리, 소마미술관, 겸재정선미술관, 김종영미술관 등에서  유작전, 제자들의 추모전이 열리며 더욱 평가되었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