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택 아트코리아방송 논설고문칭찬합시다 운동본부 총재

프랑스 젊은 의사 여섯이 1968년 나이지리아 내전 현장을 찾았다. 생명 위혐을 무릅쓰고 전쟁 부상자와 질병, 기아로 죽어가는 주민들을 돌봤다. 그로부터 3년 ‘환자 있는 곳에 우리는 간다’는 모토 아래 ‘국경 없는 의사회’가 발족했다.

옛 소련의 아프카니스탄 침공 때 가파른 산악지대에 당나귀를 타고 들어가 부상자를 치료하고 걸프전 때는 전세기 60대를 타고 날아가 7만 명 넘게 구호했다. 지금도 세계 곳곳 난민촌, 오지에서 목숨 걸고 활동하는 의사들이 있다.

감염병과의 전투에서도 의사, 간호사가 최전선을 지킨다. 한국 의료 역사상 최대 고비는 2015년 메르스 사태다. 병원 중심으로 바이러스가 퍼져 의료진이 사투를 벌였다. 당시 수퍼 전파자가 나온 한 병원에선 청소와 음식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감염 우려 때문에 근무를 꺼려 했다.

그러자 체력, 정신력 상한 간호사 12명이 특별 선발돼 수술 참여는 물론 세탁물과 의료 페기물을 나르고 환자들이 사용하는 변기, 병원 복도까지 닦았다. 간호사 한 명이 감염돼 쓰러지면서 국민 신금을 울렸다.

감염을 막으려고 의료진은 ‘레벨D’로 불리는 개인 보호 청구를 쓴다. 흰색 우주복 같은 전신 방호복과 의료용 마스크, 안면 보호정으로 구성돼 있다. 방호복은 작은 틈새라고 생기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해서 한번 입고 벗을 때마다 10~30분 걸린다고 한다.

무게는 ‘가벼운 비옷’ 정도지만 통풍이 안 돼 가만히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른다. 두세 시간 입으면 속옷까지 젖어 걷기조차 힘들고 더 오래되면 탈진 증상이 올 정도라고 한다. 감염병과의 전쟁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게 의료물자다.

그런데 환자 수천 명이 쏟아진 대구, 경북 지역에 의료 장비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알코올 솜으로 안면 보혀경을 닦아 쓰고 방호복이 부족해 재사용 한다고 한다. 의사, 간호사의 최대 위험은 환자에게서 감염되는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머리카락 굵기의 수백분의 1 정도 크기다. 환자의 작은 기침으로도 감염될 수 있다. 우한 코로나 사태가 이번 싸움의 최대 난제는 의료 인력 확보 문제라고 한다. 의료 인력이 가뜩이나 부복한데 의료진 감염까지 속출하고 있다.

대구 가톨릭병원 경북대병원 등 대구, 경북 지역 병원을 중심으로 의료진 감염이 계속되고 국민안심병원으로 지정된 울산대병원 응급실 의사도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런 악조건 속에서도 대구, 경북을 돕기 위해 의료진의 자원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의사 24명 간호사 167명, 간호조무사 157명 들이 대구에 자원했다고 밝혔다. 이와 별도로 이성규 대구시의 사회장의 호소문에 전국에서 의사 260여 명, 간호사 100여 명이 응답했다.

의료진이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전장에 나서고 있지만 마스크와 방호복, 솜소독제 같은 보호물품이 제때 공급되지 않고 있다. 대구 의료진은 마스크와 고글을 재사용하고 방호복 대신 가운만 입고 일하고 있다.

정부는 보호 물품 부족 사태에 직면하자 의료진 보호 지침을 바꾸는 식으로 대응했다. 격리 공간에서 검체 채취 시에는 전신방호복 대신 수술용 가운 사용을 권장하기로 한 것이다.

검체 채취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라지만 사실은 방호복 수급에 차질을 빚고 있는데 따른 미봉책이기도 할 것이다. 의료계는 “정부가 중국내 방호복 10만 개를 보내고 품귀 현상이 벌어졌다.”며 반발하고 있다.

의료진의 안전이 위협받으면 국민의 안전도 지킬 수 없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대구를 찾아 “군과 경찰, 민간 의료 인력 지원을 포함해 국가적 총력 지원 체계를 가동하겠다.”고 했다.

정세균 총리도 대구에서 지휘하고 있다. 그런데 권영진 대구시장은 서울시장과 경기지사에게 “대구 환자를 받아달라”고 호소했다. 우리는 위기 때마다 국민의 단합된 힘과 지혜로 능히 극복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