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택 아트코리아방송 논설고문칭찬합시다 운동본부 총재

아카데미 트로피는 높이 34cm, 무게 3.85kg이다. 위는 브리타늄 재질에 금박을 입혔고, 아래는 검은 대리석으로 되어 있다. 순수 제작비는 우리 돈 40~50만원 쯤이다.

하지만 수상 가치는 돈으로 따질 수 없다. 생애 첫 후보로 지명되는 감독이나 배우는 몸값이 크게 치솟는다. 아카데미는 회원 8.469명이 투표로 수상작을 정한다. 워낙 선망받는 상이다 보니 아카데미가 좋아하는 작품 분석이 나온다.

회원 상당수가 영화 제작자, 배우, 성우처럼 영화 관련 분야에서 일하다 은퇴한 중산층 백인이어서 그 취향을 저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백인 배우의 작품을 선호하며, 외국어 자막을 관람 장애물로 여긴다고 한다.

봉준호 감독이 올 초 골든글로브상을 받은 뒤 현지 언론에 자막에 장벽을 1인치 뛰어넘으면 훨씬 더 많은 영화를 즐길 수 있다.”고 한 것은 괜한 말이 아니다. 흔히 세계 3대 영화제는 미국에서 개봉된 영화만 수상하는 아카데미 상을 빼고 칸, 베네치아, 베를린에서 치르는 유럽 영화제를 꼽는다.

이곳은 10명 안팎 전문가를 심사단으로 위촉한다. 우리 영화는 1960년대 이후 이 영화제들로부터 경쟁, 비경쟁 부문에서 끊임없이 초청받아 왔다. 수상 실적도 나쁘지 않다. 1987년 배우 강수연이 씨받이로 베네치아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이창동 감독의 밀양’, 김기덕 감독 피에타등이 작품, 감독, 주연배우상을 받았다.

아카데미상은 1963년 신상옥 감독이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로 처음 문을 두드린 이래 57년간 쉼 없이 도전했지만 수상은 커녕 본선에 오른 적도 없다. 이창동의 버닝이 지난해 외국어영화상 부문 예비 후보에 포함된 게 유일한 성과다.

한국인 중 아카데미 레드카펫을 밟은 이는 2016년 외국어영화상 부문 시상자로 나섰던 이병헌뿐이다. 영화 기생충이 작품상을 받으면 비영어권 영화로는 첫 수상이 된다. 지난해 100년을 기념한 우리 영화계 전체가 축하할 일이다.

기생충의 이번 수상은 여러모로 의미가 크다. 세계 최고 예술영화제인 프랑스 칸영화제에서 지난해 황금종려상을 거머쥔 데 이어 상업영화 본거지인 할리우드에 한국 영화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린 쾌거다.

지구본 전체의 현안인 사회 양극화 문제를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작품으로 완성한 봉준호 감독의 연출 덕분이다.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대립 못 가진 자들 사이의 갈등 등 인간 군상의 희비극에 평론가는 물론 일반 관객이 뜨거운 지지를 보냈다.

한국적 생활을 한국어로 풀어내되 이를 보편적 차원으로 끌어올린 글로벌’(글로벌+로킬) 전략의 본보기다. 골든글로브를 포함해 각종 해외 영화무대에서 30여 개 상을 받은 게 우연이 아닌 게 분명하다.

봉 감독도 이번 수상 소감에서 “1인치 정도 되는 (자막)장벽을 뛰어넘으면 훨씬 더 많은 영화를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생충은 산업적으로도 성공했다. “우리는 단 하나의 언어를 쓴다고 생각합니다. 그 언어는 영화입니다.”라는 봉 감독의 소감처럼 국경을 뛰어넘는 흥행기록을 남겼다.

한국 관객 1.000만 명 돌파에 이어 북미에서도 2.390만 달러(279억원)를 벌어들였다. 외국어 영화 역대 흥행작 8위에 해당한다. 프랑스, 호주, 브라질 등 40개국에서 개봉하는 기록도 세웠다. 세계와 통하는 문화 콘텐츠의 파워다.

기생충의 영광은 오늘에 끝날 일이 아니다. 2기생충이 잇따르며 K, K드라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K무비의 도약에 불을 댕겨야 한다. BTS와 함께 한류의 새로운 동력이 되기를 고대한다.

미국 CNN도 최근 한류라는 단어를 그대로 사용할 만큼 한국의 대중문화가 확산했다. 한국 영향력이 계속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