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부터 전승된 전통놀이

[아트코리아방송 = 김한정 기자] 428일 토요일, 서울 인사동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22호 연등회와 대한불교청년회가 조계사 어린이법회 학생들과 함께 호기놀이를 펼쳤다. 주말을 맞아 인사동에 나온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연등회 취지를 알렸다.

인사동거리에 나부낀 '호기놀이' 깃발
인사동거리에 나부낀 '호기놀이' 깃발
인사동거리에 나부낀 '호기놀이' 깃발

호기놀이는 고려시대부터 내려온 전통놀이로 부처님오신 날 즈음 집집마다 꿩 깃과 비단으로 장식한 장대를 세우고 가족 수만큼 등을 매달았는데, 아이들은 물고기 껍질을 벗겨 북을 만들어 두드리며 동네를 다니면서 등불을 밝힐 재료를 살 쌀이나 돈을 구했다고 한다. 올해는 인사동과 우정국로 인근 상점을 방문해 연등회 취지를 알리고 권선으로 받은 모연금을 아름다운동행에 후원할 계획이다.

인사동거리에 나부낀 '호기놀이' 깃발
인사동거리에 나부낀 '호기놀이' 깃발
인사동거리에 나부낀 '호기놀이' 깃발

호기놀이[呼旗戱]는 이러한 호기를 해학적인 가무로 만들어서 공연한 잡희(雜戱)이다. ‘호기아이들놀이[呼旗童戱]’라고도 하였는데, 종교적 의미가 깃든 아동놀이라 할 수 있다. 고려사(高麗史)에 따르면, 공민왕(恭愍王)은 사월 초파일에 연등을 하고 궁궐 마당에서 아이들의 호기놀이를 구경한 후 포 백 필을 하사하기도 하였다.

인사동거리에 나부낀 '호기놀이' 깃발

조선시대에 들어 호기는 비록 고려시대만큼 활발하지 못하였어도 전기까지는 지속되었으나, 억불정책(抑佛政策)에 의해 점차 사라졌다. 조선시대 사월 초파일에 집집마다 연등을 하기 위해 대나무로 등간(燈竿)을 세우고, 맨 꼭대기에 깃발을 다는 풍습은 호기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