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승하하고 순조(純祖, 재위: 1800∼1834)가 즉위한 19세기 이후 조선은 ‘세도(勢道)정치’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말 그대로 유력한 가문이 정치를 주도한 그런 현상은 국정의 혼란과 민생의 파탄을 가져왔다. 널리 알듯이, 이때의 유력한 가문은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였다.

효명세자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는 대리청정을 하면서 세도정치를 억제하고 왕정의 영향력을 회복하려고 노력했지만, 21세의 이른 나이로 훙서(薨逝- 왕이나 왕족의 죽음)하는 바람에 그 뜻을 이루지 못한 비운의 인물이었다. 이름은 대부분 좋은 뜻을 담고 있지만, ‘효명(孝明)’이라는 이름대로 그는 효성스럽고 명민했다고 판단된다. 그 명민함의 핵심은 뛰어난 문학·예술적 능력이었다.

효명세자
 

 

탄생과 순조로운 성장

 

효명세자는 조선 제23대 국왕 순조와 순원(純元)왕후 김씨의 맏아들로 1809년(순조 9) 8월 9일에 탄생했다. 3세 때 이름을 영(旲. 원래 발음은 ‘대’지만 ‘영’으로 부르도록 했다)이라고 정하고(1812년 6월 2일), 왕세자로 책봉되었다(7월 6일). 함경도 관찰사 김이영(金履永)은 세자의 휘와 같다는 이유에서 이름을 ‘이양(履陽)’으로 고치기도 했다(8월 21일).

효명세자

그 뒤 성균관에 입학하고(8세. 1817년 3월 11일) 관례(冠禮- 성년식)를 거행했다(10세. 1819년 3월 20일). 완벽한 정통성을 가진 세자의 순조로운 과정이었다.

효명세자

풍양 조씨와의 국혼

 

이때의 중요한 일은 국혼이 이뤄졌다는 사실이었다. 국혼은 늘 중요하지만, 세도정치가 시작되던 이 시기에는 그 의미가 더욱 컸다. 세자는 부사직(副司直. 종5품 무반) 조만영(趙萬永. 1776~1846)의 딸을 세자빈으로 맞았다(1819년 10월 11일).

효명세자 비

뒤에 신정(神貞)왕후(1808~1890)로 책봉된 그녀는 요절한 남편과 달리 82세까지 장수하면서 흥선군(興宣君)의 둘째 아들인 고종에게 왕위를 승계시키고(1863년 12월 8일) 3년 동안 수렴청정을 시행하는 등 뚜렷한 정치적 발자취를 남겼다.

효명세자 비 의상

이때의 국혼에서 핵심적인 사항은 이것을 계기로 풍양 조씨가 세도정치의 한 주역으로 발돋움했다는 것이었다. 조만영은 조부가 이조판서 조엄(趙曮. 1719~1777)이고, 아버지는 판돈녕부사를 지낸 조진관(趙鎭寬. 1739~1808)이었다. 그와 함께 활동한 동생 조인영(趙寅永. 1782~1850)은 순조 때 영의정까지 지냈고 순조 묘정에도 배향되었으며, 추사 김정희와 금석문을 연구하기도 했다.

효명세자

조만영은 딸이 세자빈에 간택된 뒤 대사성·금위대장(禁衛大將)·비변사 제조·예조판서·어영(御營)대장 같은 요직을 두루 거쳤고,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시작했을 때는(1827. 순조 27) 이조판서와 어영대장을 겸임해 인사권과 군사권을 장악하는 막중한 권력을 갖기도 했다.

효명세자

그는 효명세자가 붕어한 뒤 안동 김씨에 밀렸지만, 형조·호조·예조판서·한성부 판윤·판의금부사·지중추부사 등 요직을 계속 지키면서 풍양 조씨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특히 그는 효명세자나 왕세손(헌종)의 신변 보호와 왕실 안전을 명분으로 오랫동안 군사권을 장악해 풍양 조씨 세도의 군사적 배경을 형성했다고 평가된다.

효명세자

효명세자는 18세인 1827년 2월 부왕 순조의 건강 악화를 이유로 대리청정(代理聽政)하게 되었다. 뒤에서 보듯이 그는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갖고 있었는데, 청정 1년 전부터는 시작(詩作)보다 경세에 관련된 독서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것은 순조에게서 청정을 미리 통보 받고 대비한 행동으로 추정된다.

 

미래의 국왕답게 젊은 세자는 의욕적으로 청정을 시작했다. 우선 일련의 인사를 단행해 안동 김씨 계열을 배제하고 새로운 인물을 널리 등용했다. 홍기섭(洪起燮. 예조판서 역임)·김노경(金魯敬. 이조판서 역임) 등이 측근에서 보좌했고, 장인 조만영을 비롯한 조인영(영의정 역임)·조종영(趙鍾永. 우참찬 역임)·조병현(趙秉鉉. 이조판서 역임) 등 풍양 조씨 출신도 비중 있게 활동했다. 김정희·권돈인(權敦仁. 영의정 역임)은 조인영과 친구 사이였고, 이지연(李止淵. 우의정 역임)·이기연(李紀淵. 형조판서 역임) 형제는 조만영과 사돈이었다. 호적법을 정비하고 형옥(刑獄- 형별과 옥사)을 신중하게 한 것은 의미 있는 시책으로 평가된다.

효명세자

그러나 문제는 건강이었다. 이전에도 수두(3세. 1812년 10월 18일)와 홍역(13세. 1822년 11월 24일)을 앓았다는 기록은 있지만 순조롭게 왕자를 낳는 등(1827년 7월 18일 헌종 출생) 건강에는 큰 지장이 없어 보였지만, 1830년(순조 30) 윤4월 말에 각혈한 뒤 며칠 만에 승하한 것이다(5월 6일). 왕실 중흥의 기대를 무산시킨 허망한 결과였다.

 

세자는 ‘효명’이라는 시호를 받은 뒤(1830년 7월 15일) 익종(翼宗)을 거쳐 문조(文祖) 익황제(翼皇帝)로 추존되었다. 수릉(綏陵.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소재)에 신정왕후와 합장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저작권자 © 아트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